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행복 간의 관계: 메타 분석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행복 간의 관계: 메타 분석

 

 

 

  돈 많은 사람들이 돈 없는 사람들보다, 부자 나라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가난한 나라에 사는 사람들보다 평균적으로 더 행복하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들에서 밝혀져 왔다. 소득과 행복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마냥 진리인 것 같은 이 사실은 선진국에서 다소 약한 모습을 보인다. 경제적 지위(부유함)가 줄 수 있는 행복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개발도상국의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 선진국처럼 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행복 사이의 연결이 강할 것인가 약할 것인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두 Howell 들이 연구자로 나섰다. Howell과 Howell이 정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도상국 내에서 객관적인 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행복(Subjective Well-Being, SWB) 간의 평균적인 관계는 무엇인가?
 둘째, 이 상관관계는 선진국에서 보고된 것보다 통계적으로 더 강한가?
 셋째, 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행복 관계에 영향을 주는 조절변인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본격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조절변인’이 무엇인가에 대해 보충설명이 필요할 것 같다. 조절변인(Moderator variable)은 상호작용 효과를 갖게 하는 변인으로, 영향력에 관한 것이다. 이 연구에 맞춰 말하자면, 경제적 지위가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이 조절변인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5가지 조절변인을 확인한다. (a) 경제 발전 단계 (b) 교육수준 (c) 주관적 행복 개념의 구성 (d) 경제적 지위 개념의 구성 (e) 성별이 그것이다.

 

  이 연구를 위한 메타분석은 우선, 문헌 검색을 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키워드는 삶의 만족, 행복의 질, 소득, 부, 돈, 개발도상국, 저소득층 등이며, 2006년 7월 1일까지 게시된 영어 아티클들이 대상이었다. 모은 자료 중에서 연구자들이 세운 기준에 합당한 것들만 추리자, 최종적으로 총 56개 경제 개발도상국의 111개의 독립적인 표본(응답자 131,935명)이 선정되었다. 분석에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와 Comprehensive Meta-Analysis 2.0가 사용되었다.
 
  표본들을 분석한 결과, 개발도상국의 전반적인 경제적 지위-주관적 행복 관계의 효과크기는 .196 (95% 신뢰 구간 [CI]=.191, .200), 비가중 효과크기는 .183 (95% 신뢰구간 [CI]=.160, .206)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이 관계는 선진국 표본과 비교했을 때 훨씬 강한 걸까? 선진국의 경우, 평균 효과크기가 .122, 비가중 효과크기는 .118이었다. 이것은 선진국보다 개발도상국에서 경제적 지위-주관적 행복 간의 관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개발도상국 사람들은 선진국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부자일수록 더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이다.

 

  연구의 세 번째 목적이었던 조절변인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5가지 요인 모두 모두 경제적 지위-주관적 행복 관계에 영향을 주는 조절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에 대해 풀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