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에서의 소속감이 학급 내 학생들의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외로움으로 인한 슬픔은 대부분 소속감의 부재에서 온다.
그리고 소속감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얻기도 한다.
실제로 학교폭력의 많은 경우 일회적이고 가시적인 신체폭력을 경험하는 경우보다, 따돌림과 같이 지속적이고 정서적인 폭력을 경험하는 경우에 그 심적 고통이 더욱 큰 것으로 밝혀져 있다. 외로움이 개인의 행복을 저해하는 큰 요인 중 하나임을 고려한다면, 소속감을 느끼는 것만으로도 개인의 행복을 증진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매슬로우(Maslow, 1943)는 인간의 욕구를 의식주와 건강에 대한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 위험에서 자신을 보호하려는 ‘안전 욕구(Safety needs)’, 가족, 친구, 친척 등과 친분을 맺고 집단에 귀속하고 싶어 하는 ‘사회적 욕구(Love/Belonging needs)’, 인정, 존중, 신망을 받으려는 ‘존경 욕구(Esteem needs)’, 자신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려는 ‘자아실현 욕구(Self-actualization needs)’로 설명하고 있다. 이 욕구는 중요도에 따라 단계를 형성하는데, 하위 욕구가 채워져야 상위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이론에 따르자면, 생리적 욕구와 안전의 욕구가 충족이 되어야 사회적 욕구를 충족할 수 있고, 존경 욕구와 자기실현 욕구를 채우기 위해서는 사회적 욕구를 반드시 충족시켜야만 한다. 다시 말해, 물, 수면, 공기, 음식 등과 같이 삶의 필수 요건이 만족되고 정신적, 심리적, 육체적, 경제적인 안전을 확보해야 비로소 개인은 다른 사람과 친밀한 관계를 이루거나 어떠한 집단에 소속되길 바라는 욕구를 채울 수 있는 것이다. 또, 명예, 명성과 같이 자신이 소속한 집단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얻고 존경을 받고 싶어 하는 욕구와 성취욕을 채우기 위해서는 개인 및 집단과의 소속감을 충분히 만족시켜야만 한다.
이처럼 개인의 삶을 더 풍요롭게 하는데 꼭 필요한 것이 사회적 욕구의 만족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욕구 만족에서의 키워드는 소속감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소속감은 사회적 욕구가 강해지기 시작하는 청소년기에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게 된다. 그렇다면 청소년의 삶에서 학급에서의 소속감이 학교생활에 큰 영향을 미침을 예상해 볼 수 있는데, 소속감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이 어떠한지 또, 이 관점이 학업적, 정서적 기능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한 연구에서는 716명의 고등학생(평균 연령 16.5세)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수업 중 소속감에 기인하는 돋보임 또는 어울림 욕구 만족이 학습과 긍정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Gray, 2017). 이 연구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돋보임과 어울림에 대한 인식이 경험적으로 구별 가능한가? 둘째, 학생들의 돋보임 또는 어울림 욕구를 성취하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학생들의 돋보임 또는 어울림에 대한 욕구가 동시에 만족되면 긍정적 감정 경험과 학습에 대한 가치 부여에 더욱 도움이 될까?
학생들의 돋보임 욕구는 ‘나는 좀 달라도 괜찮다.’, ‘나는 다른 학생들보다 돋보이는 것에 만족한다.’, ‘나는 또래에서 충분히 돋보인다.’의 질문으로 측정했고, 어울림 욕구는 ‘나는 다른 학생들과 잘 섞인다.’, ‘나는 다른 학생들과 유사하다고 느끼는 정도가 나의 기준과 부합하다.’, ‘나는 다른 학생들과 비슷해도 괜찮다.’의 질문으로 측정하였다.
돋보임/어울림 욕구의 충족수준에 따른 4가지 그룹별 프로파일(Gray, 2017)
*Unfulfiled : 돋보임/어울림 욕구 미충족형(집단1), Somewhat fulfilled : 돋보임/어울림 욕구 어느 정도 충족형(집단2),
Fulfilled : 돋보임/어울림욕구 충족형(집단3), Nearly fulfilled : 돋보임/어울림욕구 거의 충족형(집단4)
연구 결과, 청소년들에게는 돋보임(Standing out) 또는 어울림(Fit in) 욕구의 충족 수준에 따라 위 그래프와 같은 네 가지 집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장 큰 집단4 ‘돋보임/어울림욕구 거의 충족형(47.4%)’과 두 번째로 큰 집단3 ‘돋보임/어울림욕구 충족형(24.4%)‘은 돋보임과 어울림에 대한 욕구가 보통 이상으로 충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가장 작은 집단1 ‘돋보임/어울림욕구 미충족형(3.2%)’은 어울림 욕구의 충족도는 보통인데 반해 돋보임 욕구의 충족도가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로 작은 집단2 ‘돋보임/어울림욕구 어느 정도 충족형(25.1%)’은 돋보임과 어울림욕구 모두 보통 수준으로 충족되고 있었다. 즉, 집단 3, 4에 속하는 학생들(71.8%)이 자신의 돋보임 욕구와 어울림 욕구가 충족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다수의 학생들이 친구들과 잘 섞이면서도 본인이 도드라져 보이고 싶을 때는 또 자신의 특출한 점을 표현하기도 하는 것이다. 어울림 욕구는 모든 집단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어울림 욕구 만족 정도가 보통인 집단에서는 돋보임 욕구의 충족 정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성취 결과를 내기 위해 참여와 노력 과정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감정을 성취 감정이라 정의하고(Pekrun, 2006) 수업 전·후에 불안(‘나는 잘못 말할까봐 두려워서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절망(‘나는 이 수업을 이해할 수 있다는 희망을 버렸다.’), 즐거움(‘나는 열정이 돋아 참여하는 것을 꽤 즐긴다.’), 지루함(‘나는 수업이 끝날 때 까지 못 기다리겠어서 가만히 있지 못한다.’), 자부심(‘나는 수업내용에 대해 뒤지지 않고 따라갈 수 있다는 것이 자랑스럽다.’), 수치(‘다른 사람들이 내가 이해를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 나는 당황스러울 것이다.’)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가지 집단 모두에서 높은 수준의 수치와 불안을 보이고 있었고, 집단1에서 낮은 수준의 자부심을 보였고 집단 1과 2에서 높은 수준의 절망을 보이고 있었다. 또,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심리적 소속감, 내적 동기, 성취 가치, 유용 가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적으로 돋보임 욕구 만족이 어울림 욕구 만족보다 훨씬 높고 두 욕구 만족 모두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높았던 집단3은 다른 집단에 비해 학습과 관련된 가치(성취 가치:‘나는 이 수업에 강하다고 생각한다.’, 내재적 가치:‘이 수업을 얼마나 좋아하느냐?’, 유용가치:‘졸업 후 이 수업이 얼마나 유용하겠느냐?’)와 심리적 소속감(‘나는 수업시간에 다른 친구들과 같다고 생각한다.’)이 더 높음을 밝혀내었다.
많은 교육 연구자들은 보통 학생에게 가장 근본적이고 즉각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준으로써 학급을 본다. 이렇게 학급 수준에서 학생들의 사회적 경험을 살펴보는 것이 학급이 학생을 이끄는 방향성 뿐 아니라 학급 속에서의 사회적 경험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금 소개한 연구 결과와 함께 생각해보면, 학급은 학업과 관련한 자료, 도전을 할 수 있는 기회, 정서적·인지적 지원을 많이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요인들이 충분한 학급풍토 속에서 학생들이 수업에 효능감과 흥미를 느끼고 그 내용이 유용하다고 생각하며, 학급에의 심리적 소속감이 높기 때문이다.
성인들처럼 아이들 역시 집단 속에서 자신이 무엇인가를 잘못 말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무지를 알게 될 것을 걱정한다. 이러한 감정을 수용해 주고, 구성원들의 유사성을 강조하는 가운데 개인의 돋보이는 점을 인정하는 학급이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학급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급에 대한 인식이 학급 내 학생들의 삶을 형성하는 동기적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Reference
Gray, D. L. (2017). Is psychological membership in the classroom a function of standing out while fitting in? Implications for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1, 103-121.
[Belonging &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