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4. Rural-Urban Migration and Happiness in China
시골에서 도시로 오면 행복할까요?
그림 4.1은 시골–도시 이주자, 시골거주자, 도시거주자의 세 그룹에 대한 행복 평균값과 1인당 그들의 평균 수입에 관하여 보여준다. 비록 이주자들의 행복은 도시 거주자들의 행복보다 낮았지만, 그들의 수입은 그렇지 않았다. 이주자들의 1인당 평균 수입은 도시 거주자들의 수입보다 2.39배 높았다. 그러나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한 이주자들이 더 높은 수입을 번다고 할지라도, 그들이 도시 거주자들보다 더 높은 행복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하지만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한 이주자들을 1인당 소득 단위로 나누었을 때, 그들의 행복 수준은 올라갔다. “불행하다”고 응답한 응답자들에게 그들의 불행의 이유에 대해 물어본 결과, 3분의 2 이상이 소득이 너무 낮아서 불행하다고 답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소득이 이주자 행복의 중요한 결정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4.2는 미래(5년 뒤)의 수입의 기대감이 현재의 행복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행복은 5년 뒤라는 미래의 소득에 대한 기대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시골 거주자들에 비해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한 이주자들의 수입에 대한 기대 계수가 모든 그래프에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미래에는 소득이 더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이주자들은 0.31포인트인 반면, 시골 거주자들은 0.41포인트였다. 한편, 미래에는 소득이 감소할 것이라는 기대감은 이주자들이 –0.39 포인트, 시골 거주자들은 –0.19 포인트였다. 즉, 전반적으로 이주자들의 미래의 수입에 대한 기대감이 시골 거주자들보다 더 낮은 것으로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이주자들이 현재 자신의 수입에 대해 더 높은 포부(aspiration)가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그림 4.3은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한 이주자들과 도시거주자들의 미래 소득 기대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그래프에서도 역시나, 도시 거주자들에 비해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한 이주자들의 미래 수입 기대도가 모든 그래프에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미래에는 소득이 더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이주자들은 0.21포인트인 반면, 도시 거주자들은 0.34포인트였다. 한편, 미래에는 소득이 감소할 것이라는 기대감은 이주자들이 –0.37 포인트, 도시 거주자들은 –0.29 포인트였다. 즉, 도시거주자들과 비교해보았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이주자들의 미래의 수입에 대한 기대감이 도시거주자들보다 더 낮았다. 이와 같은 사실은 이주자들이 현재 자신의 수입에 대해 더 높은 포부(aspiration)가 있음을 한 번 더 증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