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균형적 시간관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행복증진활동의 매개효과를 성인초기와 중년후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 경남에 거주하는 25세 이상 35세 이하의 성인초기 성인 192명과 55세 이상 65세 이하의 중년후기 성인 180명을 대상으로 균형적 시간관, 행복증진활동, 주관적 안녕감(삶의 만족도,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을 측정하였다. 변인들 간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성인초기와 중년후기 모두 균형적 시간관이 행복증진활동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증진활동의 하위 유형으로 나눠서 살펴보면, 성인초기의 균형적 시간관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취지향적 활동과 개인적 관계중심 활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중년후기에서는 개인적 관계중심활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와 중년후기 성인을 대상으로 과거와 현재, 미래의 ‘균형 잡힌’ 시간관이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세대 간에 나타나는 행복증진활동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the effect of Happiness Enhancing Activities(HE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lanced Time Perspective(BTP) and Subjective Well-Being(SWB). For this study, total subjects were 372 which is composed of the early-aged adults 192 and late middle aged adults 180 from Busan and Gyeongsangnam-do in South Korea. They completed the survey which is included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ZTPI), Korean Version of the Happiness-Enhancing Activities Questionnaire(K-HAQ)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BTP has a positive effect on SWB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HEA and it comes out in the both subjects, early-aged adults and late middle-aged adults. To be specific, mediating effect of goal-focused activities and activities with family and friends in the relationship on BTP and SWB was significant for the early-aged. However only mediating effect of activities with friends in the relationship on BTP and SWB was significant for the middle-aged. This study is meaningful, it has turned up the effect of BTP on HEA in both subjects, early-aged adults and late middle-aged adults as well as fou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of H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