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몰입연구는 개인적인 경험측면과 몰입경험이 개인에게 어떠한 긍정적 기능이 있는지 밝히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몰입경험과 경험의 기능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몰입경험에 대한 중요타인의 평가, 중요타인의 평가에 따른 몰입의 심리적 결과물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중요타인의 개인몰입에 대한 동의여부, 몰입으로 인한 자의식 유무, 타인과 의견공유 여부가 몰입과 행복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개인몰입에 대한 중요 타인의 동의여부, 몰입자의식, 의견조율은 몰입수준과 상호작용하여 몰입의 결과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의여부, 자의식은 동일한 패턴의 조절효과를 보였고, 의견공유는 반대 패턴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와 관련해서는 논의부분에 논의 하였다. 연구 2에서는 무엇 때문에 개인의 몰입에 타인이 동의/비동의를 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적으로 가치 없는 활동, 다른 활동에 지장을 주는 활동에 몰입하는 경우 중요타인은 개인의 몰입에 동의하지 않았고, 사회적 가치가 있는 영역에 몰입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타인이 인정할 수 없는 활동에 몰입할 경우, 타인은 개인의 몰입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이는 다시 개인의 몰입의 결과물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추론되었다. 이와 관련된 문제를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flow in relational context. Previous studies on the function of flow suggested that flow has a positive effect on personal growth and happiness. However, Previous studies were only focused on individual context and aspect of flow. However it was supposed that the function of flow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xts, the present study focused relational function of flow. In study 1, moderate effects were found that significant other`s approval/disapproval, regulation with significant other and self conscious emotion moderdted relationship between on flow and happiness. In study 2, the reasons of disapproval on person`s flow were that flow activities were not socially valuable and flow pursuing frequently violated relational expectancy. `111e Results of present studies suggested that the functions of flow could be changed and reconstructed along the contexts.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had a valuable implication in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conduct a research on individual happiness and positivity only in individual context. Instead, It is necessary that individual positive concepts should be reapprdised carefully in relational, interdependent, moral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