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회복과정 속에서 느끼는 행복감의 수준과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적 특성, 생활 경험 그리고 서비스 환경이 연구모형으로 구성되었다. 정신장애 회복을 위한 정신보건기관에 소속된 성인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설문이 진행되었다. 전국의 49개 정신건강증진센터, 사회복귀시설, 정신과 병원 등으로부터 수집된 580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정신장애인의 행복감 수준은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보호작업에 참여하는 집단의 행복감이 가장 의미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정신과 증상, 동료관계, 취업유무, 신체적 건강, 자기통제감, 학력의 순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존중감, 정신과적 증상, 자기통제감을 포함하고 있는 심리적 특성요인이 행복감의 46.6%를 설명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삶의 만족,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와 같은 행복감의 하위 요인에 각각 서로 다른 영향요인이 작용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신장애인을 위한 행복지향적 실천과 정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feel about happiness in their recovery process and what is the factor affecting happiness of theirs. For this, factors influencing their happiness were composed of demographic factors, psychological traits, living experiences and service environments. The survey for collecting data was conducted for adult people who were participating in mental health institutions for recovery from their mental disorders. The number of questionnaire analyzed was 580 witch was collected from 49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mental hospitals across the nations.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happiness degree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was very low. And I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ifference analysis that groups participating in sheltered workshop are feeling highest happiness. In analysis of affecting factos it was appeared that self-esteem, psychiatric symptom, peer relationship, vocational state, physical health, sense of personal control and school career are affecting happiness significantly. In particularly, psychological traits including self-esteem, psychiatric symptom and sense of personal control were explaining happiness in the highest of 46.6%. And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t factors are affecting sub-factors of happiness just like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happiness-oriented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