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이국희, & 최인철. (2018). 사회적 배제가 여가의 의도, 의미, 그리고 재미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 29(4), 41-59.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7월 15, 2021
in 행복DB,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이국희, & 최인철. (2018). 사회적 배제가 여가의 의도, 의미, 그리고 재미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 29(4), 41-59.
Share on Facebook

왜 어떤 사람은 여행, 등산, 스포츠 경기 등의 적극적 여가를 선호하고, 다른 사람은 TV시청, 인터넷 서핑, 모바일 게임 등의 소극적 여가를 선호하는 것일까? 본 연구는 이 질문에 한 가지 가능한 답이 사회적 배제 지각에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1은 어제 사람들로부터 존중받은 사람은 지각된 사회적 배제가 없는 집단으로, 존중받지 못한 사람은 사회적 배제가 있는 집단으로 구분한 후, 적극적/소극적 여가의도, 적극적/소극적 여가의 의미/재미를 측정하였다. 연구-2는 컴퓨터 패스볼 게임 참가자 4명 모두에게 50회 씩 패스할 기회가 주어지는 사회적 배제 없음 조건과 나에게는 5회만 패스할 기회가 주어지고, 다른 3명끼리 65회씩 패스를 하는 사회적 배제 있음 조건을 참가자에 따라 다르게 경험하게 한 후, 적극적/소극적 여가 의도, 적극적/소극적 여가의 재미/의미 지각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적극적 여가 의도가 약하고, 소극적 여가 의도가 강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적극적 여가의 의미와 재미를 낮게 지각하고, 소극적 여가의 의미와 재미는 높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관계가 적극적/소극적 여가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Why do some people prefer active leisure activities such as traveling, hiking, and sports, while others prefer passive leisure activities such as watching TV, surfing on the Internet, and playing mobile games?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that one possible answer to this question would be perceived social exclusion, and two studies were performed to verify this hypothesis. In Study 1, participants respected by others the day before were comprised a group without perceived social exclusion, and those who were not respected were classified as a group with social exclusion. Subsequently, participants” intention to engage in active/passive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the perceived meaning and pleasure in active/passive leisure activities were examined. In Study 2, participants experienced either the no social exclusion condition in which all four players of a computerized ball pass game were allowed 50 opportunities to make passes, or the social exclusion condition in which participants had 5 opportunities to make passes while the other three players had 65 opportunities each. Following the game, participants” intention to engage in active/passive leisure activities and perceived meaning and pleasure in active/passive leisure activities were examined. Finding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ho perceived social exclusion had a weaker intention for active leisure activities and a stronger intention for passive leisure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perceive social exclusion. Moreover, participants who perceived social exclusion tended to find less meaning and pleasure in active leisure activities and more meaning and pleasure in passive leisure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perceive social ex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s on the choice of active/passive leisure activities.

 

 

이국희, & 최인철. (2018). 사회적 배제가 여가의 의도, 의미, 그리고 재미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 29(4), 41-59.

 

Tags: Intention for LeisurePleasure in Leisure
Previous Post

Choi, J., Catapano, R., & Choi, I. (2017). Taking stock of happiness and meaning in everyday life: An experience sampling approach.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8(6), 641-651.

Next Post

Good for self or good for others? The well-being benefits of kindness in two cultures depend on how the kindness is framed

Related Posts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논문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5월 21, 2024
592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미디어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2월 29, 2024
433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미디어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1월 9, 2024
758
Next Post
Good for self or good for others? The well-being benefits of kindness in two cultures depend on how the kindness is framed

Good for self or good for others? The well-being benefits of kindness in two cultures depend on how the kindness is framed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