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통제력 고갈이 물리적 환경과 인과관계 지각에 미치는 효과: 착각적 패턴 지각과 미신 행동

자기 통제력 고갈이 물리적 환경과 인과관계 지각에 미치는 효과: 착각적 패턴 지각과 미신 행동

 

 

 한 가지 일에 대한 집중적 수행과 자기 통제력 사이에는 교환이 존재한다(Baumeister et al., 1998). 쉽게 말해 인간은 자기 통제력을 소모하면서 집중적으로 일하고, 집중적으로 일하지 않고 휴식을 취할 때 자기 통제력이 충전된다. 사람이 일에 집중하는 것은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일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일정시간 일을 집중적으로 수행한 결과로 자기 통제력 저하도 인간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지금 살펴볼 연구는 일을 집중적으로 수행한 결과로 나타나는 자기 통제력 저하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시각적 패턴을 지각하게 하고 미신에 빠지기 쉽게 만든다는 것을 보여준다(Whitson & Galinsky, 2008).


  연구자들은 자기 통제력을 고갈 시키는 조건과 고갈 시키지 않는 조건에 참가자들을 무작위로 할당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자기 통제력을 조작하기 위한 과제는 개념-식별 과제(Concept-identification task)을 사용하였다. 표-1은 개념-식별 과제의 개념 구조를 보여준다(Levine, 1966).

 

 

A

(letter)

B

(letter color)

C

(letter size)

D

(position)

E

(underline)

X

T

black

red

upper

lower

left

right

dotted

solid

1

2

1

2

1

2

1

2

1

2

 

표 1. 개념-식별 과제의 개념 구조(Levine, 1966)

 

  표-1 가장 윗줄의 A부터 E는 속성의 다섯 가지 차원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다음 줄은 속성의 유형을 보여주고, 가장 아랫줄은 속성을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즉 A차원은 글자가 X인지 T인지를 알려주는데, X는 ‘1’로 표현되고, T는 ‘2’로 표현된다.
  참가자들의 과제는 컴퓨터 화면에 나타난 표-2와 같은 자극을 보면서 윗줄에 표현된 부호 ‘11111’이 그 아래에 있는 두 문자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왼쪽 화살표 또는 오른쪽 화살표로 응답하는 것이다. ‘11111’은 검정색 대문자 점선 밑줄이 쳐진 왼쪽 박스 X이므로 오른쪽이 정답이다.

 

11111

X

t

표 2. 식별 과제의 예시

 

  참가자들은 표-2와 같은 과제를 60회 반복하였다. 정상적인 환경이라면 처음에 시행착오를 겪던 참가자들은 보통 10번 정도가 지나면 90%가 넘는 정답률을 보이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통제력을 고갈 시키는 과제의 참가자들에게는 연구자의 실험적 조작이 가해진다. 이 조건 참가자들에게 ‘정답/오답’ 피드백을 주되 실제 정답과 관계없이 무작위로 피드백을 주면서 참가자들로 하여금 계속 새로운 규칙을 찾는 것에 신경을 곤두세우도록 만들었다. 반면 통제력을 고갈 시키지 않는 과제의 참가자들에게는 별도의 피드백을 주지 않다가 나중에 얼마나 잘 했는지 알려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