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하는 것을 선택하는 사람의 행복
인간 내면에 무궁한 잠재력이 존재한다는 인식은 대중 심리학에서 비교적 오랫동안 반복되었던 인기있는 주제이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도 ‘네 안에 잠든 거인을 깨워라!(Awaken the giant within!)’ 혹은 ‘거인의 무한한 능력(Unlimited power)’이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Robbins, 2007; 2008). Robbins(2007; 2008)는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가 삶의 단 한 가지 영역에 통달하는 데 모든 에너지를 집중할 때 거인과 같은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또 대중에게 저렴한 가격의 자동차를 선물한 의지력의 화신 핸리 포드(Henry Ford, July 30, 1863 – April 7, 1947)의 신념을 받아들이라며 이렇게 강조한다.
“스스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할 수 없는 사람은 이 세상에 없다.”
그저 ‘어느 정도의 잠재력’도 사실 대단한 것일 인지데, ‘무한한 잠재력’이라니! 이런 말에 마음이 흡족해진 부모와 교사들은 자신의 자녀들 혹은 자신이 지도하는 학생들에게 “넌 마음만 먹으면 무엇이든 성취할 수 있어!”, “넌 머리는 좋은데 공부를 안 해!”라고 이야기 하면서 자기 자신에게도 최면을 걸고, 자녀들에게도 마법을 건다.
그런데 최면에서 현실로, 마법에서 마법이 풀린 상태로 돌아와 보자. 과연 그런가? 정말 마음먹은 대로 모든 일이 되던가? 오히려 이러한 ‘뭐든지 할 수 있어!’라는 최면과 ‘넌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자야!’라는 마법 때문에 언제나 “나는 아직 갈 길이 멀어”라고 느끼며 불만족하고 살아가고 있진 않은가?
이제 인간을 오히려 좌절시키는 판타지의 세계에서 현실로 돌아와야 할 때다. 말콤 그래드웰(Malcolm Gladwell, 1963년 9월 3일)은 정말 무한한 잠재력이 있는 것 같은 사람을 부정하진 않는다. 그러나 그런 사람들은 일반적인 사람들이 아니라, 정상인의 범주를 벗어난 아웃라이어들이다(Gladwell, 2008).
아웃라이어란 통계적인 용어로 모집단의 평균보다 2 좀 더 엄격하게는 3 표준편차 이상 떨어져 있는 자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지능 지수는 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 15이다. 그래서 1표준편차 뛰어난 사람들의 지능은 115, 2표준편차 뛰어난 사람들의 지능은 130, 3표준편차 뛰어난 사람들의 지능은 145가 되며, 145 이상이 사람들은 천재들의 모임으로 불리는 멘사라는 단체의 회원이 된다. 그리고 바로 이 사람들이 전체 인구의 3% 미만을 차지하는 아웃라이어들이다.
물론 이 아웃라이어들이라고 해서 쉽게 성취를 이룬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아웃라이어들의 삶을 보면 에디슨이 스스로 고백한 것처럼 1%의 타고난 재능을 발휘하기 위해 99%의 노력을 한 것도 사실이다. 한국을 피겨 스케이팅 강국의 반열에 올려놓은 김연아 선수(September 5, 1990)도 이것을 증명한다. 그녀는 7살에 스케이트를 타기 시작해서 2010년 벤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기 전까지 하루도 쉬지 않고 8시간 씩 연습한 것으로 유명하다(오영석, 2014). 그럼 우리도 희망을 가지고 김연아처럼 8시간씩 노력하면 무엇이든지 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