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정서가 동서양의 우세한 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5월 10, 2021
in 연구스케치, 행복스토리
Share on Facebook

정서가 동서양의 우세한 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

    

 

동서양 문화권에 따른 사고방식에 대한 연구들, 특별히 인과관계 추론이나 귀납추론을 할 때 동양인(East-Asian)들이 맥락중심적인 종합적 추론(holistic reasoning)을 하고 서양인(Westerner)들은 개별대상 중심적인 분석적 추론(analytic reasoning)을 한다고 알려져 왔다(Nisbett, 2003; Nisbett et al., 2001). 그렇다면, 긍정정서 혹은 부정정서는 이러한 동서양의 우세한 정보처리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모국어가 영어인 69명의 미국국적 소유자와 모국어가 한국어인 41명의 한국국적 소유자가 참여하였다(Koo et al., 2012). 그리고 이들 중 한 그룹은 긍정정서 유발을 위해 모차르트(Mozart)의 《Eine Kleine Nacht Musik》를 들려주었고, 다른 그룹은 부정정서 유발을 위해 말러(Mahler)의 《Adagietto》를 들려주었다(Niedenthal & Setterlund, 1994; Storbeck & Clore, 2005).

 

정서점화를 마친 참가자들은 추론과제를 수행하였다. 추론과제는 학생이 지도교수를 살인한 사건과 관련된 97가지 정보 중 사건에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는 것이었다. 표-1은 과제의 예시를 보여준다.

 

이제 귀하가 대학원생이 교수를 살해한 살인 사건의 책임을 맡은 경찰관이라고 가정해 보십시오.

죽은 교수는 대학원생의 지도교수였습니다. 왜 그 대학원생은 자신의 지도교수를 살해하였을까요?

이제 담당경찰관으로서 살인의 동기를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에는 가능한 정보들이 제공되어있습니다.

각 정보들은 살인의 동기를 추정하는데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 정보들 중에서 관련이 없다(실험2에서는 ‘있다’)고 생각되는 정보들을 제거(실험2에서는 ‘포함’)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이 없다(실험2에서는 ‘있다’)고 생각되는 정보들 옆에 있는 칸에 “∨”표시를 해 주십시오.

 

정보:

관련이 없는가?

(실험2는 ‘있는가?’)

 

교수가 다른 사람들 앞에서 대학원생을 조롱한 적이 있는가

 

 

교수가 술을 마시는 사람인가

 

 

대학원생이 최근에 연애에서 실패했는가

 

 

교수가 자신의 권위를 남용한 적이 있는가

 

 

대학원생의 정신병력

 

 

⁝

 

  ​

 

참가자가 종합적으로 추론한다면 “대학원생이 최근에 연애에서 실패했는가”와 같은 대학원생이 처한 최근 외부환경 등의 간접적인 단서들도 포함시키려는 경향이 증가할 것이고, 이에 따라 정보를 제거하는 수가 감소할 것이다. 분석적 추론을 한다면 “교수가 다른 사람들 앞에서 대학원생을 조롱한 적이 있는가”와 같이 교수와 대학원생 사이에 있었던 직접적인 단서들만 포함시키려는 경향이 증가하여 정보를 제거하는 수가 증가할 것이다

 

.

표-2는 이 실험의 결과를 보여준다. 먼저 한국인의 경우 부정정서를 점화했을 때가 긍정정서를 점화한 조건에서 더 많은 정보를 제거하였다. 즉 한국인의 경우 긍정정서일 때 종합적 추론 경향이 부정정서일 때보다 강해졌음을 의미한다. 반면 미국인의 경우 긍정정서 조건일 때가 부정정서 조건일 때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거하였다. 이는 미국인의 경우 긍정정서일 때 분석적 추론 경향이 부정정서일 때보다 강해졌음을 의미한다. 즉 긍정정서는 각 문화권의 우세한 정보처리를 더 강하게 만들었고, 부정정서는 각 문화권의 우세한 정보처리를 약하게 만들었다.

 

 

한국인

미국인

긍정정서(p<.05)

평균 48.73개 제거

평균 55.25개 제거

부정정서(p<.05)

평균 55.42개 제거

평균 49.73개 제거

 

이것을 반복검증하기 위한 또 다른 실험은 표-1과 같은 과제를 동일하게 수행하되, 정보 중 증거가 될 만한 정보를 포함하게 하였다. 만약 참가자가 종합적으로 추론한다면,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할 것이지만, 분석적으로 추론한다면, 더 적은 정보만 포함할 것이다.

표-3은 이 추가 실험의 결과를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한국인은 긍정정서일 때가 부정정서일 때보다 정보를 더 많이 포함시켰고, 미국인은 긍정정서일 때가 부정정서 일 때보다 정보를 더 적게 포함시키면서 실험-1과 동일하게 긍정정서는 각 문화권의 우세한 정보처리 방식을 더 강하게 만드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국인

미국인

긍정정서(p<.05)

평균 33.82개 포함

평균 26.34개 포함

부정정서(p<.05)

평균 27.32개 포함

평균 29.12개 포함

 

본 연구는 긍정정서가 전역적 주의(global focus)를 유발하고, 부정정서가 국소적 주의(local focus)를 유발한다는 저수준 정보처리(low-level processing)에 관한 연구(주로 시지각)를 상대적으로 고수준 정보처리(high-level processing)인 문화적 추론맥락(주로 귀납추론, 인과추론)에 그대로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것에서 시사점을 가진다(Gasper & Clore, 2002; Huntsinger, Clore, & Bar-Anan, 2010).

    

 

*더 알고 싶다면,

 

Gasper, K., & Clore, G. L. (2002). Attending to the big picture: Mood and global versus local processing of visual information. Psychological Science, 13(1), 34-40.

 

Huntsinger, J. R., Clore, G. L., & Bar-Anan, Y. (2010). Mood and global–local focus: Priming a local focus reverses the link between mood and global–local processing. Emotion, 10(5), 722-726.

 

Koo, M., Clore, G. L., Kim, J., & Choi, I. (2012). Affective facilitation and inhibition of cultural influences on reasoning. Cognition & Emotion, 26(4), 680-689.

 

Niedenthal, P. M., & Setterlund, M. B. (1994). Emotion congruence in percep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4), 401-411.

 

Nisbett, R. E. (2003). The geography of thought: How Asians and Westerners think differently and why. New York, NY: Free Press.

 

Nisbett, R. E., Peng, K., Choi, I., & Norenzayan, A. (2001). Culture and systems of thought: Holistic versus analytic cognition. Psychological Review, 108(2), 291-310.

 

Storbeck, J., & Clore, G. L. (2005). With sadness comes accuracy; with happiness, false memory: Mood and the false memory effect. Psychological Science, 16(10), 785-791.

 

Previous Post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Next Post

주관적 행복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에 대한 메타분석

Related Posts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카드뉴스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11월 29, 2024
529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카드뉴스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11월 29, 2024
628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카드뉴스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2월 20, 2024
1k
Next Post

주관적 행복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에 대한 메타분석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