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천성문, 설창덕 (2003).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한 학교 상담자의 역할과 과제. 상담학연구, 4(3): 563-575.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5월 10, 2021
in 연구논문, 행복DB
Share on Facebook

오늘날의 학생들에게 학교가 행복한 곳이 아닌 이유는, 학생들이 기성세대와 전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학교가 시대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의 공교육 체제는 학생들의 인간적인 성장을 조장하고 그 속에서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체제는 아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학교의 변화를 위하여 시행된 신 자유주의적 교육 개혁은 이미 실패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가 행복해지기 위해서 학교의 주요 구성원인 교사가 먼저 변화하여야 하며, 그 선도적인 역할을 학교 상담자가 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 학교 상담자가 학교에서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하여 실천적인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상담자가 중심이 되어 학교의 변화를 추구해 나가는 것이 학교를 행복한 곳으로 만드는 가장 유용한 방도이다. 둘째, 학교 상담자는 학교 상황에 맞게 개인 상담, 집단 상담, 학급 단위 상담 활동, 컨설팅, 또래 상담 프로그램, 조력자로서의 교사 훈련 프로그램 등의 활동을 통해서 학교를 행복한 곳으로 만드는 핵심적인 활동을 할 수 있다.

 

Today, it is simply deplorable that school is not a pleasant place to students any more. This is because the view of students` valu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stablished generation and school can`t also keep up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The existing public education is not the system that is conducive to students` growth and can enjoy their happiness in it. Neo-liberalistic education reform which has carried out for the change of school is already fai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make it clear that school`s main members, teachers should change first for school to be a happy place and that school counseller can play a leading role for it, but also to present practical principles which school counseller can do at school. The conclusion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what school counseller takes the initiative in changing school is the most useful measure to make school a happy place. Second, school counseller should play the leading role to achieve it through activities suitable for school circumstances such as individual counselling, group counselling, class-unit counselling, consulting, peer counselling program,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as a helper, etc.

Tags: 학교 상담자행복한 학교
Previous Post

황재원, 김계현 (2009). 상담일반 : 대학생의 행복추구경향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10(1): 57-71.

Next Post

김여흠, 이윤주 (2013).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불안, 공감, 사회적 기술, 분노표현양식,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구조 방정식 모델 검증. 상담학연구, 14(3): 1587-1604.

Related Posts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논문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5월 21, 2024
593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미디어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2월 29, 2024
433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미디어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1월 9, 2024
758
Next Post

김여흠, 이윤주 (2013).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불안, 공감, 사회적 기술, 분노표현양식,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구조 방정식 모델 검증. 상담학연구, 14(3): 1587-1604.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