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청소년들의 삶에 대한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를 사용하여 ‘한국청소년행복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첫째는 지수 개발에 앞서 ‘행복감’에 대한 국내외의 문헌을 검토하는 단계이다. 문헌검토에서 다루어진 내용들은 1) 행복감이란 무엇인가? 2) 행복감을 측정하는 지표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3) 행복감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무엇이 있는가? 등이다. 둘째는 문헌검토를 토대로 한국청소년행복지수 산출을 위한 세부지표를 개발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는 전국의 중학교 1, 2, 3학년생과 고등학교 1, 2, 3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에 근거하여 주성분분석을 통해 최종 행복지수를 구하였다. 개념 자체의 추상성으로 인해 포괄적(exhaustive)이고 상호배타적인(mutually exclusive) 영역의 구분은 불가능하지만, 국내 및 해외 문헌검토와 연구과정의 일부로 진행되었던 전문가 자문을 거친 결과 한국청소년의 행복감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영역에 만족감 또는 평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① 경제적 안녕(economic well-being), ② 자신에 대한 만족(satisfaction with self), ③ 안전(safety), ④ 학업성취(academic achievement), ⑤ 사회적 관계(social relationships), ⑥ 정서적 안녕(emotional well-being). 6개 영역에서 총 40개의 개별 문항이 생산되었으며 최종 결과로는 영역별 점수, 연령에 따른 영역별 점수의 증감, 각 영역이 최종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최종 행복지수 값의 집단별 비교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purports to develop indicators in order to measure the happiness status of Korean youth. Also, this study intends to build so-called Korean Youth Happiness Index(KYHI, hereafter) using those previously developed indicators. Broadly speaking, this study followed three steps. First, the question of “what is the conceptual scheme of happiness itself” was asked and the extensive review on domestic as well as foreign literature has been done. The authors addressed such issues as “what is happiness in general?”, “what kinds of indicators have been used in previous literature?”, and “what are the components of people’s happiness?”. The second step was to develop concrete indicators for KYHI and finally the construction of KYHI was followed using national survey data. While acknowledging the inexistence of perfectly exhaustive and mutually-exclusive classification of sub-areas of any abstract concept, the authors argue that measuring the happiness of Korean youth can be achieved by indirectly measur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ollowing six sub-areas: economic well-being, satisfaction with self, safety, academic achievement, soci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well-being. Forty indicators from six sub-area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the scores by areas, the changes in area scores by ages, the individual weights of each sub-area upon KYHI, and the KYHI scores by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