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의 일상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광주와 전남지역의 아동청소년 총 489명 (초등학생 6학년 267명, 중학생 3학년 22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일상스트레스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범은 t-test,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의 행복감은 성별 차이는 없었으나 6학년이 중학교 3학년보다 행복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상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변인의 행복감과의 관계는 일상스트레스가 낮고 자아탄력성이 높으면 행복감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일상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활력성과 낙관성, 학교공부 스트레스와 경제력 스트레스변인은 행복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올 증진시키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보다 실질적인 관심을 가져야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children and adolescents` daily stress and ego-resilience affect their happines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89 children and adolescents -267 sixth and 222 ninth graders- in Gwang-ju and Jeon-nam area. The result was assessed based on the scales of daily stress, ego-resilience and happiness, and analyzed by using several methods, including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when it comes to happiness of the sixth and ninth grade student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gender. Meanwhile, happiness was higher in sixth graders than ninth grader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variations of daily stress and ego-resilience, and happiness, students with lower stress and higher ego-resilience tended to feel happier than others. This study also looked at how the sub-factors of daily stress and ego-resilience affect the happiness of students and found out that among sub-factors, vitality, optimism, study-related stress and economic stress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happiness. To conclude,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find ways to promote the ego-resilienc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variations affecting their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