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무쾌감성 우울 증상(anhedonic depression)에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이론적인 기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에 즐거움 경험의 처리 방식(심상적 대 언어적 처리)이 예기적 긍정 정서와 행동 동기, 무쾌감성 우울 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쾌감성 우울 대상자를 심상적 처리 조건(n=33)과 언어적 처리 조건(n=32)에 무선 배정한 뒤, 행동 활성화를 위한 활동 계획을 세우고 이와 관련된 즐거움 경험을 심상 또는 내적 언어를 통해 처리하도록 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두조건 모두에서 정서와 동기, 무쾌감성 우울 증상이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으나 심상적 처리 조건에서 긍정 정서와 무쾌감성 우울 수준의 변화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심상적 처리 과정에서 경험한 긍정 정서는 무쾌감성 우울 증상의 감소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상하는 동안의 즐거움 경험을 통해 무쾌감성 우울 수준이 감소될 수 있으며, 예기적 즐거움 증진에 있어 심상적 처리가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magery processing on positive affect, behavioral motivation, and anhedonic symptoms. For this purpose, participants with anhedonic symptoms of depress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conditions, namely, an imagery processing condition (n=33) and a verbal processing condition (n=32). The experiment consisted of activity scheduling and practice designed to induce the pleasure experience regarding that activity in each processing mode. In both conditions, increases in positive affect and behavioral motivation, and a decrease in the level of anhedonic depression were observed. Participants in the imagery processing condition, however, reported greater enhancement in positive affect and anhedonic symptoms than did those in the verbal processing condition. Results indicate that boosting anticipatory pleasure for future events through mental imagery could alleviate anhedonic symptoms of depression, with increases in positive affect and behavioral motivation. In the final se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