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청소년은 좋은 시민이 되는가?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복과 친사회적 가치관 및 행동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두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예상한대로, 행복한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돈보다 관계적 가치를 더 중시하고, 타인 및 사회에의 높은 신뢰와 공동체 의식을 보였다(연구 1). 이어서 종단자료의 분석 결과(연구 2), 초기 청소년의 행복은 8개월 후의 친사회적 가치관(예, 감사)을 예측하였으며, 이 효과는 기저 수준과 이타심을 통제하고서도 유효했다. 뿐만 아니라, 행복한 청소년은 대학생이 되었을 때 친사회적 행동(예, 헌혈)을 더 자주 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 관계를 친사회적 가치관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청소년 행복의 친사회적 기능을 처음으로 고찰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Do happy teenagers become good citizens? In two studies, we examined whether happy teenagers are more likely to endorse prosocial perspectives and behaviors than their less happy peers. As expected, happy teenagers valued relationship more than money, maintained higher levels of trust and a stronger sense of community than unhappy teenagers (Study 1). Results from a longitudinal sample (Study 2) showed that teenagers` happiness predicted their prosocial views (e.g., gratitude) 8 months later, even after controlling for altruism and the initial baseline levels of the predicted variables. Furthermore, happy teenagers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prosocial behaviors (e.g., blood donation) when they enrolled in college 19 months later. Prosocial attitudes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happiness and prosocial behavior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understand the prosocial outcomes of happiness among Korean teenag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