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행복감은 단순한 일시적 정서상태를 표명함에 그치지 않고 청소년기 발달양상에 주요한 긍정적 기제로 작용할 수 있음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행복감이 청소년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에는 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 중학교 1학년 패널의 1~3차년도의 3개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행복감이 주요 발달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초적인 차이 분석에서는 행복감에 따라 청소년의 제반 발달 양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행복감과 청소년 발달 간에는 정적(+) 관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델 분석에서는 청소년의 행복감은 주관적 건강, 자아존중감, 공격성, 우울, 학교적응, 학업성적, 학습습관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행복감이 청소년기 발달양상을 규정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행복감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전환과 적극적 관심이 요청됨을, 곧 청소년의 행복감은 이후의 성취를 위해 희생 혹은 유예되어야 할 사안이 아니라 오히려 건강한 청소년 발달과 청소년 문제 예방을 위해 증진되어야 할 측면임을 환기하며, 청소년 행복감 제고를 위한 관련 제도들의 정비 및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하여 준다.
There have been reported that Korean youth experience more unhappy adolescent period than other OECD countries, there are not enough social interests to the problem of the unhappiness in the adolescents.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happiness on the adolescent developments in Korea and report the importance of the happiness in the adolescent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of the 2010 ~2012 year (Cohorts of the 1st grade middle school), we estimate the effect of the happiness on the youth developm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adolescent’s different levels of happiness have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different levels of individual developments in the youth. Regression model analysis revealed that the there is significant effects of the happiness on the physical health conditions, self-esteem, aggressiveness, depression, school adjustment,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attitude, which verified that happiness has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s’ overall developments. Also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reappraisal to the role and the value of the happiness in the adolescent period in Korea. This study show that adolescent’ un-happiness could be harmful to the adolescent developments and the happiness of the youth should not be sacrificed or neglected by reason of the increasing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to the policy makers that there should be more policy considerations to the happiness of the youth, such as social work interventions and the treatments to the problems of the adolescents who show high level of un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