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며
누구나 한번쯤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어떤 일에 집중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런 경험이 여러분에게는 어떤 기억으로 남아있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그것은 기분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저자는 사람들로 꽉 찬 지하철 출퇴근을 즐겁게 보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몰입”을 선택한다. 책읽기에 몰입하는 순간 시간과 장소에 대한 감각이 희미해지며, 15정거장이 넘는 긴 거리를 단숨에 지나 목적지에 도달한다. 이러한 경험은 만족감을 넘어 깊은 감동을 가져다준다. 몰입이 행복에 미치는 효과와 몰입의 조건에 대해 살펴보자.
🐯 몰입이란 무엇인가?
몰입 이론을 만든 심리학자 칙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교수는 눈에 보이는 보상 없이도 오랜 시간 열심히 일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했다. 예술가 인터뷰 과정에서 그는 예술가들이 오랜 기간 열정적으로 작업하여 작품이 완성됐다고 생각하면 그것을 그냥 내려놓고 (거의 버려두고), 새로운 프로젝트에 같은 양의 에너지를 들이 부어 다시 집중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칙센트미하이 교수는 예술가들이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기분 좋은 흐름의 상태에 있었다고 결론 내리고, 이렇게 활동 그 자체를 위해 활동에 완전히 몰입한 상태를 몰입(flow)이라고 정의했다. (Csikszentmihalyi, 1977; 2000). 어떤 활동에 깊이 집중하여 다른 어떤 것도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 상태, 어떤 비용을 들어서라도 계속 할 즐거운 경험, 활동에 푹 빠져(immersed) 시간에 대한 감각을 잃어버린 순간, 이 모두가 바로 몰입이다. “몰두하다”는 영어로 “immerse” 인데 이 단어는 “~에 몰두하다”, “액체 속에 담그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식초에 푹 담가 만드는 야채 피클처럼, 어떤 활동에 완전히 잠겨 있는 내 모습을 상상해보자. 이것이 바로 몰입이다!
🐔 몰입의 조건은 무엇인가?
모든 일이 다 몰입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 몸과 마음이 물 흐르듯 움직이는 몰입(flow)을 경험하게 하는 활동들은 몇 가지 조건을 가진다. 첫째, 활동은 반드시 의도적이고 자발적이여야 하며, 의미 없는 허드렛일이 여서는 안된다. 당신의 흥미를 끌만큼 즐거워야 한다. 이 조건을 충족시키는 과제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누군가에게 청소는 단순한 집안일일 수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힐링을 넘어서 치료의 차원일 수 있다. 즉 우리를 몰입의 세계로 이끌어주는 과제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또한, 칙센트미하이에 따르면 활동에 목표와 규칙이 있고, 내가 가진 기술과 활동의 요구 수준이 모두 높으면서 적절한 균형을 갖추고 있을 때, 활동 그 자체가 목표가 되는 활동에 참여할 때,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피드백이 있을 때 몰입을 경험하기 쉽다고 한다 (Csikszentmihalyi et al., 2005; Fong et al., 2014; Moneta, 2012)
🐣 몰입이 가져다주는 행복
순간적인 상태(momentary state)에서 몰입은 그 자체로 긍정 정서와 기쁨의 경험이다 (Asakawa, 2010; Csikszentmihalyi, 1997; de Manzano et al., 2010). 장기적인 측면에서도 몰입은 더 나은 성과, 장기적 목표를 이루기 위한 동기 부여, 다른 여러 긍정적인 효과로 이어진다. 연구자들에 의하면 몰입을 규칙적으로 경험하는 사람들은 높은 삶의 만족감, 심리적 행복, 자아존중감을 가지며, 전반적인 수행능력(e.g., 집중력)을 포함하여 다른 긍정적인 특성을 발전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최근 발표된 한 연구(Olcar et a;., 2021)에서는 몰입을 경험하는 영역(domain)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연구 결과에서 학생들이 유용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역(학업영역)에서 경험한 몰입은 그렇지 않은 두개의 다른 영역(여가와 반복되는 활동)에서 느낀 몰입보다 학생의 행복을 높이는데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한 것은 학업영역에서 몰입의 강도나 횟수가 여가나 반복되는 활동에서 경험한 몰입강도나 횟수보다 낮았다는 것이다. 즉, 몰입의 빈번함과 강도보다 몰입의 영역, 개인이 그 영역을 얼마나 유용하고 중요하다고 인식하는지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 몰입을 통해 행복을 만드는 7단계
어떻게 하면 몰입을 경험해볼 수 있을까? 몰입을 통해 행복에 이르는7단계를 소개한다. 몰입할 수 있는 대상과 상황을 만들어서 내 삶에 감춰진 행복을 찾아보자.
🌈분명한 목표 가지기
행복감과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성취하고 싶은 무언가를 찾아라. 이것은 당신이 성취하고 싶은 직장 내 과제일 수도 있고, 체계적으로 계획을 세워야 하는 도전적인 상황이 될 수도 있다.
🌈계획 세우기
이제 어떻게 그 목표를 이루고, 바라는 상황에 도달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자. 목표 도달지점인 끝에서부터 시작해 출발지점에 이르도록 거꾸로 계획을 세우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무슨 일이 생겼을 때 모든 걸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지 않고 바로 전 단계로 되돌아 갈수 있도록 단계별로 계획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다.
🌈현재에 머무르고, 순간에 집중하기
계획을 세웠으면, 현재에 ‘집중’하고 모든 방해요인들을 ‘제거’하자. 여기가 바로 몰입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이때 집중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우리가 취하는 자세가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기억하자.
🌈내면의 대화하기
지금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스스로에게 말하고(talk), 무엇을 위해 그 일을 하고 있는 되새긴다(reflect). 자기 자신에게 말하는 모습을 보고 다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할지에 대해서 절대 신경 쓰지 말자. 오직 ‘나’와 ‘목표’에 대해 집중하자.
🌈좋은 패턴 만들기
나만의 목표 달성, 작업 수행 방법을 일반적인 관행으로 만들어보자. 목표 달성을 돕고, 창의성과 행복을 불러일으키는 나만의 좋은 활동 패턴을 가지고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몰입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휴식과 명상하기
휴식(rest)은 스트레스를 풀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다. 명상(meditation)은 깊이 생각하게 하며 다시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명상을 통해 보이지 않던 지점이나 개선할 점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것은 누군가와 피드백을 주고받는 것과 굉장히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행복 즐기기
행복은 달성하기는 쉬울 수 있지만, 유지하기는 어려운 감정이다. 몰입이라는 타오를 듯한 맹렬한 집중력을 사용해 개개인의 삶에서 행복을 키우고, 기쁨을 찾아보자.
🐞마무리하며
뜨거운 여름맞이에 나선 6월. 학생들과 함께 몰입할 활동을 정하고 계획을 세워보자. 앞서 소개한 Olcar 외 (2021)연구를 떠올리며 학생들이 공부에 몰입하기를 강요하기 보다는 그것이 본인에게 얼마나 유용하고 중요한지를 생각하게 해보거나, 본인에게 정말 유용하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영역은 무엇인지 함께 이야기 나누어 보는 것도 6월의 좋은 교육 활동이 될 것이다. Let it flow!
[참고문헌]
Asakawa, K. (2010). Flow experience, culture, and well-being: how do autotelic Japanese college student feel, behave, and think in their daily live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1, 205-223. https://doi.org/10.1007/s10902-008-9132-3
Csikszentmihalyi, M. (1997).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HarperCollins.
Csikszentmihalyi, M. (2000). Beyond boredom and anxiety: Experiencing flow in work and play (2nd ed.). Jossey Bass.
Csikszentmihalyi, M., Abuhamdeh, S., & Nakamura, J. (2005). Flow. In A. Elliot (Ed.), Handbook of competence and motivation (pp. 598–698). The Guilford Press.
de Manzano, Ö., Theorell, T., Harmat, L., & Ullén, F. (2010). The psychophysiology of flow during piano playing. Emotion, 10(3), 301-311. https://doi.org/10.1037/a0018432
Fong, C. J., Zaleski, D. J., & Leach, J. K. (2015). The challenge–skill balance and antecedents of flow: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0(5), 425-446. https://doi.org/10.1080/17439760.2014.967799
Moneta, G. B. (2012). On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flow. In C. Peifer C. & S. Engeser (Eds.), Advances in flow research (pp. 23-50). Springer. Olcar, D., Golub, T. L., & Rijavec, M. (2021). The Role Of Academic Flow In Students’ Achievement And Well-Being. Problems of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79(6), 912-927. https://doi.org/10.33225/pec/21.79.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