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사람의 학습능력 향상: 공부 잘해야 행복한 게 아니라, 행복해야 공부 잘 한다. 경험에 의한 행동의 변화를 의미하는 학습(learning)은 인간에게 필요한 지식의 형성과 활용, 행동,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지능력이다. 학습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이전에는 해결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던 문제를 그보다 적은 시간에 해결하는지 아닌지 관찰하는 것이다. 즉 이전에 해결하는데 1시간이 걸렸던 문제를 30분 만에 해결한다면, 동일한 문제를 더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는...
행복에 기여하는 덕목(virtue)과 성격 강점(strength): 6가지 덕목과 그 하위 요소로서의 24가지 성격 강점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심리학에서 덕목과 성격의 강점을 과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인정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Seligman et al., 2004). 사람들이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그들의 행위는 바람직한가 그렇지 않은가, 도덕적인가 비도덕적인가에 대한 물음들은 과학적인 심리학의 영역이 아니라 철학자 혹은 신학자들이 결정한 몫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심리학은 인간의 부정적인 측면 혹은 영하(below zero)의...
Wealth, Warmth, and Well-Being: Whether Happiness Is Relative or Absolute Depends on Whether It Is About Money, Acquisition, or ConsumptionCHRISTOPHER K. HSEE, YANG YANG, NAIHE LI, and LUXI SHEN* “행복은 절대적인 부에 달려있는가? 아니면, 상대적인 부에 달려있는가?” 많은 사람들은 돈과 행복의 관계에 대해 궁금해 한다. 우리는 살면서 ‘더 많은 돈을 가질수록 더 행복할까?’ 혹은 ‘더 많이 소비할수록 더 행복할까?’ 등의 질문을 흔히 들을 수 있다. 이...
공동체 안에서 추구하는 목적과 이상적인 감정 상태 : 영향력 행사(influencer) vs. 조화 추구(adjuster) 당신은 당신이 속한 공동체 안에서 어떤 유형의 사람이 되고 싶은가? 중요한 공동체의 과업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이 되고 싶은가?(influencer) 아니면 구성원들 안에서 조화를 추구하면서 공동체의 약점을 보완하거나, 공동체가 나에게 기대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 되고 싶은가?(adjuster) 만약 이 질문에 대한 당신의 답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이라면 당신은 늘 열정적이고(enthusiastic), 흥미진진해...
Money and Happiness Christopher J. Boyce, Gordon D.A. Brown, and Simon C. Moore(2010)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돈으로는 개인의 효용을 높일 수 있는 물건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돈과 행복은 인과적으로 연결되어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높은 소득이 높은 행복으로 이끈다고 본다. 우리는 이를 ‘절대 소득 가설(absolute-income hypothesis)’이라고 하는데, 절대 소득 가설이란, 같은...
문화적 전통과 행복 : 이상적인 감정 상태에 대한 동서양의 차이 심리학 분야에서 정서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는 PANAS(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이다.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ttentive Hostile Active Irritable Alert Ashamed Excited Guilty Enthusiastic Distressed Determined Upset Inspired Scared Proud Afraid Interested Jittery Strong Nervous 표 1. PANAS 척도에 포함된 긍정 및 부정정서 목록 표-1은...
소득과 체제 정당화 사람들은 ‘현재 상태나 구조를 변화시키기보다 유지하는 것을 선호’한다.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정보처리와 행동 경향성에 ‘현상유지편향(status quo bias)’이라고 부른다(Kahneman, Knetsch, & Thaler, 1991). 현상유지편향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인지적 자원 소모를 최소화시키고, 회사에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경우와 같이 어쩔 수 없이 변화해야만 하는 일에만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에 대부분의 경우 인간에게 유익하다. 현상유지편향은 사회학 혹은 정치학적으로도 시사점을 주는데, 그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