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불지피기 전략과 행복

불지피기 전략과 행복   다섯 가지 선행을 여러 날에 분산하여 시행하는 사람이 더 행복할까(정원에 물주기 전략), 아니면 같은 수의 선행을 하루에 몰아서 하는 사람이 행복할까?(불지피기 전략)   한 심리학자 그룹이 실험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무선할당 한 후 절반은 하루에 다섯 가지 선행을 집중적으로 시행하는 불지피기 조건에 할당하였고, 다른 절반은 일주일 내에 다섯 가지 선행을 골고루 분산하여 시행하는 정원에 물주기 조건에 할당한 한 후, 모두 집단...

Read more

시간을 정해놓고 돕는 것과 행복

시간을 정해놓고 돕는 것과 행복        이름을 공개하기 어려운 한 IT회사에서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보다 10% 낮은 가격으로 판매할 레이저 컬러 프린터를 개발하는 일을 진행 중이었다. 업무를 담당하는 엔지니어 17명은 휴일도 없이 개발업무를 추진했음에도 불고하고 일은 일정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버드 대학 펄로 (Leslie Perlow) 교수가 해당 회사의 자문을 맡았다. 펄로 교수가 처음 방문했을 때 17명의 엔지니어들은 부족한 시간과 극심한...

Read more

시간적 거리감과 현재에 대한 음미

시간적 거리감과 현재에 대한 음미   연구자들은 학부 생활이 거의 끝나가는 대학 졸업반 학생들을 실험에 참가하도록 초대했다. ​이 졸업반 학생들은 2주 동안 일주일에 두 번씩 대학 생활의 여러 면을 소재로 작문을 하도록 지시를 받았다.   ​글을 쓰는 동안 어떤 학생들은 졸업이 임박했다는 사실에 집중하도록 유도된 반면 다른 학생들은 아직 그것이 먼 훗날의 일이라는 사실에 집중하도록 유도되었다. ​즉 달콤 쌉싸름한 조건의 집단에게는 이제 겨우 1,2000시간 밖에...

Read more

타인 돕기는 자기 돕기다

타인 돕기는 자기 돕기다 : 누군가를 돕는 것이 자신의 웰빙에 기여하는 효과   다섯 명의 여성 자원 봉사자들을 3년간 추적한 특별한 연구가 있었다. 이 다섯 명은 다발성 경화증을 앓고 있었는데 67명의 다른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을 위한 동료 지원자로 활동하도록 선택되었다. 그들은 적극적이며 공감하는 경청 테크닉을 훈련 받았으며 3년 동안 한 달에 한 번씩 환자 한 사람에게 15분 씩 전화를 걸어주도록 지시를 받았다.   연구 결과에...

Read more

현상유지편향과 손실회피

현상유지편향과 손실회피       오랜 세월 변화에 적응해온 인간은 효율적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두뇌 신경시스템을 발전시켜 왔다. 효율적 정보처리 시스템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 한 가지는 어쩔 수 없는 환경의 변화를 제외하고는 변화를 최소화하여 무엇인가를 새로 학습하는데 에너지가 소모되지 않도록 만드는 시스템이다. ​   인간의 이 시스템은 인간으로 하여금 차이보다 유사성에 주목하게 만들고, 변화보다는 일관성에 더 높은 가치를 두며, 다양성보다는 보편적으로 적용할...

Read more

신경증 성향과 행복

신경증 성향과 행복    사람들 중에는 불확실한 것에 대해 유난히 걱정이 많아 불안해하거나, 안 좋은 사건을 계속 되뇌면서 스스로 우울해지는 성향을 사람들을 볼 수 있다.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성향을 가리켜 신경증(Neuroticism) 성향이 높은 사람이라고 부른다. 신경증의 정도가 지나치면 잠을 이루지 못하거나(수면 장애),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시달릴 수 있고, 더 심하면 기분이 급격히 좋았다가, 급격히 나빠지는 조울증 에피소드까지 나타날 수 있다. ​   신경증이 높은 사람들의 위와 같은...

Read more

가난한 나라와 부유한 나라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난한 나라와 부유한 나라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가난한 나라인지 부유한 나라인지에 따라 행복의 기준이 달라질까? 물질적인 가치와 비물질적인 가치 중 어떤 것이 더 행복에 영향을 줄까? 많은 사람들이 살면서 한번쯤은 하게 되는 이 질문을 연구 상황에 접목한 사람들이 있다. Weiting Ng와 Ed Diener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문을 제기하며 연구를 설계하였다. (a) 주관적 웰빙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예측할 때, 재정적 만족과 탈물질주의적 욕구가...

Read more

권력자의 이타심, 관대함, 그리고 창의성

권력자의 이타심, 관대함, 그리고 창의성          권력을 가진 사람 혹은 권력을 탐하는 사람은 자기 밖에 모르는 이기주의자이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묵살하고, 현실과 타협하기에 창의성과 거리가 먼가?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가 혹 이런 생각에 동의한다면, TV나 신문에서 자신이 자주 접한 정보를 기준으로 쉽게 판단하려는 인간의 추론방식에서 오는 오류임을 깨달을 필요가 있다.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오류를 대표성 휴리스틱(representative heuristic)이라고 부른다(Kahneman & Tversky, 1972). 경험적 연구의...

Read more

너는 나를 모르지만 나는 너를 안다 : 비대칭적인 통찰력의 환상

너는 나를 모르지만 나는 너를 안다 : 비대칭적인 통찰력의 환상  사람들은 ‘나’를 평가할 때와 ‘너’를 평가할 때 비슷한 통찰력을 발휘할까? 우리는 스스로를 공정한 판단자라고 생각할 때가 많다. 하지만 이에 의문을 제기하고 자신과 타인을 평가함에 있어서의 비대칭적인 통찰력을 연구한 사람들이 있다. 다음은 그들이 수행한 연구들이다.    연구 1에서는 가까운 친구를 대상으로 대인 간 지식의 비대칭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참가자는 총 125명의 Williams College와 the University of Illinois...

Read more

노년층의 자원봉사와 심리적 웰빙 : 어느 정도가 지나친 것인가?

노년층의 자원봉사와 심리적 웰빙 : 어느 정도가 지나친 것인가?    인생의 황혼기에 다른 사람을 위해 자원 봉사하는 노인들은 사회적, 경제적으로 많은 이득을 준다. 봉사자들 개인도 육체적, 정신적으로 더 건강해지며, 주관적 웰빙도 높아지고, 사망률이 줄어든다. 그러나 과연 이들의 자원 봉사가 무한정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낼까? 본 연구는 이 의문에 답을 구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호주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the PATH Through Life Project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참가자는 64세에서...

Read more
Page 31 of 350 1 30 31 32 350

인기컨텐츠

추천링크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