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사람들은 행복하다. Most people are happy Ed Diener와 Carol Diener의 연구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행복함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핵심은 ‘행복(happiness)’이라고도 불리는 ‘주관적 웰빙(Subjective Well being, SWB)’이다. 주관적 웰빙은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인데, 인지적 요소(예. 삶의 만족도 판단)와 정서적 요소(즐겁고 불쾌한 감정적 반응)로 구성된다. Ed Diener와 Carol Diener는 연구를 위해, 세계 각국의 주관적 웰빙 조사 결과를 모았다. ...
분노와 주의분산 프로이트는 분노를 표출하면 심리적 압박이 해소되고, 카타르시스(catharsis)를 경험함으로써 분노가 해소된다고 주장했다(Bushman, Baumeister, & Stack, 1999). 그러나 이후에 이루어진 과학적 연구는 프로이트의 이러한 주장이 사실이 아님을 보여준다. 실상 분노뿐 아니라, 우울함, 슬픔과 같은 부정적 감정은 이것을 표출한다고 하여 사라지지 않는다. 부시맨의 연구는 분노표출이 분노 조절에 적합하지 않은 방법임을 적절히 보여주었다(Bushman, 2002). 부시맨은 참가자들을 모아 논쟁이 되는 주제 중 하나인 낙태에 대한 찬성...
당신은 삶의 목적이 있는가? 만약 그러하다면, 당신은 장수(longevity)할 가능성이 높다. 장수는 아주 오래 전부터 인간의 관심사였고, 관련된 연구도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역사가 깊다. Patrick L. Hill 과 Nicholas A. Turiano 역시, 이 주제에 대해 관심이 있었는데, 특별히 그들은 ‘삶의 목적’을 갖는 것이 수명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궁금해 하였다. 두 사람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Patrick L. Hill과 Nicholas A. Turiano는 연구 데이터로 the...
비관적 설명양식과 신체적 질환 : 35년간의 종단연구 어릴 때의 나쁜 사건을 설명하는 습관이 나중의 삶의 신체 건강을 예측할 수 있을까? 각기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이나 실패의 경험에 대해 그 이유를 찾는 방식이 있는데 그것을 ‘설명양식Explanatory Style’이라고 한다. 설명양식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낙관적인 설명양식과 비관적인 설명양식으로 나뉜다. 우리는 이따금 원하는 대학에 도전했다가 입시에서 떨어지거나 회사취직시험에서 낙방하거나 잘 다니던 회사에서 해고를 당하거나 이겨야 하는 시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