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Looking to the Future to Appreciate the Present

Looking to the Future to Appreciate the Present : The Benefits of Perceived Temporal Scarcity ​Jaime L. Kurtz (2008).            흔히들 행복은 현재의 일상을 풍부하게 느낄 때에 찾아온다고 한다. 서점에는 발걸음을 멈추고 장미 냄새를 맡으라거나, 감사하는 태도를 기르라는 식의 충고가 담긴 자기계발서가 빼곡하다. 실제로 삶에서 긍정적인 것들을 향유하는 능력은 심리적 행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생활을 즐기는 것이 자연스럽고 쉬운...

Read more

실수나 약점은 호감을 낮추는가?

실수나 약점은 호감을 낮추는가?        약점이나 실수는 그것을 저지른 사람에 대한 호감 혹은 사회적 평판을 저하시킬 수 있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약점이나 실수가 드러나는 것을 꺼려한다. 그러나 약점이나 실수가 언제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앨리엇 애런슨(Elliot Aronson)의 고전적인 연구는 지식의 전문성 정도에 따라 약점이나 실수가 호감 혹은 평판에 미치는 효과가 다름을 검증하였다(Aronson, Willerman, & Floyd, 1966). 연구진은 48명의 미네소타 대학생들에게 퀴즈대회 참가자들의 예선전 테이프를...

Read more

심리적 회계와 정보전달의 기술

심리적 회계와 정보전달의 기술        사람들은 경제학적으로는 동일한 효용을 가지는 상황에 대해 심리학적으로는 다른 효용을 가진 것처럼 판단하곤 하는데, 이는 우리 마음에서 이루어지는 심리학적 회계가 경제학적 회계와 다르기 때문이다(Thaler, 1985; Thaler & Johnson, 1990). 아래 예시들을 살펴보자.        《김씨》는 하나에 1,000원인 복권을 네 장 샀다. 이 중 하나는 5만원에 당첨되었고, 다른 하나는 2만 5천원에 당첨되었다. 《이씨》는 하나에 2,000원인 복권을 두 장...

Read more

에너지 절약을 설득하기

에너지 절약을 설득하기   치알디니는 심리학자들로 구성된 연구진과 함께 캘리포니아 주민 800명을 이상을 대상으로 에너지 소비량을 조사했다(Cialdini & Schroeder, 1976). 연구진은 사람들에게 에너지 절약을 결심하는데 다음의 용인 얼마나 중요하게 작용했는지 물었다.   1) 돈을 절약한다. 2) 환경을 보호한다. 3) 사회에 이익이 된다. 4)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한다.   캘리포니아 주민들은 일관성 있게 환경 보호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다. 사회에 이익이 된다는 요인이 두 번째였고, 세...

Read more

연봉 공개 vs. 비공개

연봉 공개 vs. 비공개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동료에 비해 자신이 더 뛰어난 능력을 가졌고, 생산력도 더 뛰어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영자가 투명한 경영과 인사관리의 공정성을 위해 모든 직원의 연봉을 공개한다면 직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경제학적으로 본다면, 인간은 감정적으로 의사결정하지 않으며, 합리적이기에 받는 연봉이 동일하다면, 이를 공개하나 공개하지 않으나 직원들의 동기부여와 사기는 이것과 관계가 없다. 그러나 심리학적으로는 연봉 공개 상황과 비공개 상황은 전혀 다른 맥락의 상황이며,...

Read more

영향력 지각을 통한 바람직한 행동 유도하기

영향력 지각을 통한 바람직한 행동 유도하기     조건 A                                      조건 B    손을 깨끗이 씻으면                       손을 깨끗이 씻으면 당신이 질병에 감염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환자들이 질병에 감염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다른 상황에서도 중요하지만, 환자를 돌보아야 하는 병원의 의료진은 병원에서 손을 씻는 것이 더 중요하다. 어떻게 하면 병원의 의료진들로 하여금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깨끗하게, 그리고 자주 씻게 할 수 있을까? ​   이를 위해 Grant와 Hofmann (2011)은...

Read more

옷 구매와 타인의 고통에 대한 감수성

옷 구매와 타인의 고통에 대한 감수성 : 지속 가능한 패션 소비에 대한 연민과 가치의 역할     내가 입는 옷은 ‘나’를 표현하는 수단인가?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겠지만, 현대의 많은 사람들에게 패션은 단순한 신체 보호도구가 아니다. 나의 개성, 나의 가치관을 드러내는 표출구인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패션 소비와 보편적 가치들을 연결해 연구한 사람들이 있다. Geiger와 Keller가 관심을 가진 키워드는 구체적으로 ‘지속가능한 패션’, ‘가치’, ‘연민’이라고 할 수 있다....

Read more

아이와 오빠

한 아이가 오빠의 품속에 들어가 있다. 고사리 같은 손으로 소중한 동생을 꼭 안아준 아이의 모습이 감동을 준다. 우리는 서로에게 의지하며 살아간다. 우리는 서로에게 힘이 되고, 행복이 된다. 내가 내뿜는 빛은 내 옆의 사람을 밝히고, 내 옆 사람이 내뿜는 빛은 나를 밝힌다. 이렇게 우리는 서로를 비추며 산다. 돈독한 관계는 행복의 원천이다.  

Read more

사랑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는 우리에게 행복을 준다. 저기 해변가에 두 커플을 보라. 마치 이 세상에서 둘밖에 남지 않은 듯이 행복해 보인다. 그림자에서조차 환희가 느껴진다. 소중한 사람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자. 돈독한 관계는 행복의 원천이 된다.  

Read more

아이의 탄생

한 아이가 태어났다. 오랜 시간의 진통을 겪은 엄마는 드디어 아이를 품에 안았다. 엄마는 감격에 젖은 얼굴로 행복을 만끽한다. 소중한 생명이 품에 안겨졌을 때, 감동의 순간이 찾아온다. 엄마의 사랑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드는 원동력이다. 

Read more
Page 33 of 350 1 32 33 34 350

인기컨텐츠

추천링크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