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_행복 연구에서 다루는 현실적인 문제들 Chapter 06_공적인 영역 1. 민주주의 지금까지 민주주의는 그 자체가 하나의 가치로 간주되어 왔다. 이 장에서는 헌법상 시민들이 참정권을 보장하는 제도로 이해할 수 있는 민주주의가 주민들의 주관적인 행복과 삶의 만족도를 체계적으로 상당히 증진시킨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한다.민주주의는 국민들에게 좀 더 바람직한 정치적 결정을 제공함으로써 결과가 주는 효용을 증대시킨다(결과적 효용). 또한 정치적인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권리 그 자체에 가치를 부여할 수도...
01_경제학에서 행복 연구의 주요 발전 Chapter 02_행복과 효용의 관계 1. 객관적인 효용과 주관적인 효용 표준 경제이론은 개인이 수행한 선택의 관찰에 근거하는 ‘객관주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개인의 효용은 오로지 유형(有形)의 재화와 서비스 그리고 여가에 의존한다는 입장이다.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방법론적인 혁신으로 인해 효용의 구체적 크기에 근거해 사람들 사이의 효용을 직접 비교하지 않더라도 실증적인 수요이론을 전개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Robbins, 1932; Hicks & Allen,...
01_경제학에서 행복 연구의 주요 발전 Chapter 01_행복에 관한 연구 많은 사람이 행복을 인생의 궁극적 목적이라고 생각한다.미국 독립선언문은 ‘행복의 추구’를 삶이나 자유처럼 ‘양도할 수 없는 권리’로 간주하고 있다. (Ura & Galay, 2004) 1980년대 후반, 부탄의 4번째 국왕 지그메 싱기에 왕추크(Jigme Singye Wangchuck)는 국가정책의 기본 원리가 ‘총국가행복(Gross national Happiness, GNH)’에 있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 경제학은 개인의 행복에 관한 것이다. 오랫동안 경제학에서는 소득을 인간의 행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