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행복의 비밀_6장

CHAPTER 6_결혼이 행복을 보장해줄까     정신 건강과 사랑하는 능력은 관련이 있지만 그 관련성을 밝혀내기는 매우 힘들다. 우리는 사랑이라는 감정을 저울로 재거나 특수 렌즈로 관찰할 수 없기 때문이다.친밀하고 따듯하고 상호적인 애착(단순히 육체관계나 에로스라고 하는 생물학적 본능적 욕망만을 말하는 것이 아님)이 우리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그랜트 연구가 주는 세 번째 교훈이다.사랑을 구체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 하여 우리가 사랑을 누리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정열적인 사랑뿐만 아니라 가까운...

Read more

행복의 비밀_5장

CHAPTER 5_무엇이 성숙한 인생을 좌우할까     (Epigraph) 서른 살이 되면 인간의 성격이 석고처럼 단단히 굳어 다시는 바뀌지 않는 것은 인류에게 축복이다. - 윌리엄 제임스   1967년 서른 세 살의 내가 그랜트 연구 대상자들을 처음 면담했을 때 그들은 사십대 막바지에 있었다. 나는 언제나 윌리엄 제임스를 존경했고, 사십대 말에 접어든 대상자들을 보며 사람의 성격이 30세까지 굳어진다고 했던 제임스의 주장이 한동안 옳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대상자들을 관찰하면서 최소한...

Read more

행복의 비밀_4장

CHAPTER 4_어린 시절의 행복은언제까지 지속될까     (Epigraph) 가슴 속에 살아 숨쉬는 그대로 인해 기쁨이 흐리지 않는가! 잡을 수 없던 그대를 우리는 잊지 않고 있었네. - 윌리엄 워즈워드   사람은 어린 시절에 만난 타인과의 경험과, 그들로 인해 구체적으로 겪은 일들을 의식하지 못한 채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과거가 품고 있는 한 단면이다.소설자 조지프 콘래드는 이 점에 대해 이렇게 탄식했다. “어린 시절 바라고, 사랑하고, 삶에 대해...

Read more

행복의 비밀_3장

CHAPTER 3_행복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시대를 뛰어넘다.     (Epigraph) 문 위의 표지판에서는 “성인 발달에 관한 그랜트 연구”라고 적혀 있었다. .... 그날 오후, 나는 대학 2학년생으로 열아홉 살이었다. 대공황과 6개월에 걸친 소아마비 투병과 함께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고 있었다. 이것들만 없었다면 만족하고 활기찰 수도 있었던 인생의 출발이었다.   이 장에서는 그랜트 연구의 75년 세월을 기록한다.그랜트 연구의 프로그램은 1938년에서 1954년까지는 클라크 히스(Clark Heath) 박사가, 1954년에서 1972년까지는 찰스 맥아더...

Read more

행복의 비밀_2장

CHAPTER 2_행복을 측정할 수 있을까     (Epigraph) 후속 연구는 정교한 이론들을 무너뜨리는 위대한 힘이 있다. - P. D. Scott   이 장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을 들어 종단 연구가 정확히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어떻게 사용되고, 또 왜 그토록 중요한지 이야기하겠다. 2009년 <애틀랜틱 The Atlantic>지는 내게 그랜트 연구를 시작한 후 알아낸 것 중 가장 중요한 발견이 무엇이냐고 물었다.나는 이 질문을 받고 뒷받침할 만한 증거도 없이...

Read more

[행복의 비밀 1장] 행복의 비밀 코드를 찾아라

행복의 비밀 코드를 찾아라! (Epigraph) 누구도 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 강도 사람도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이다.헤라클레이토스 이 책은 한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삶에 적응하며 변해간 이야기와, 지금까지 75년 동안 이어져온 그랜트 연구(Grant Study)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랜트 연구(Grant Study) 연구의 원래 이름은 ‘하버드 대학교 종단 연구(Harvard Longitudinal Study)였으며, 이듬해 ’하버드 대학교 그랜트 사회적응연구(Harvard Grant Study of Social Adjustments’로 바뀐 뒤, 1947년에 현재...

Read more

WHR_세계행복보고서 2018 – Chapter7(3)

Chapter 7. America’s Health Crisis and the Easterlin Paradox미국의 건강위기(비만, 물질주의, 약물 남용, 우울증)와 이스털린 역설  그림 7.7​그림 7.7은 전세계의 오이오피드 중독 장애의 추정치를 나타낸다. 미국은 매우 높은 빨간색을 보이며, 764수치를 기록하며, 그 다음으로는 러시아(605), 이라크(578), 이란(556)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 7.8​그림 7.8은 전세계의 주요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MDD)의 수치를 나타낸다.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곳은 모로코(956)이며, OECD 국가들 중 미국(679)은 3위로 포르투갈(702), 스웨덴(702) 다음이었다.     그림 7.9​Clark et al의...

Read more

WHR_세계행복보고서 2018 – Chapter7(2)

Chapter 7. America’s Health Crisis and the Easterlin Paradox미국의 건강위기(비만, 물질주의, 약물 남용, 우울증)와 이스털린 역설 그림 7.4​그림 7.4는 1910년부터 2005년까지의 미국의 커피, 차, 탄산음료의 소비량을 보여준다. 특히 1977년에서 2012년 사이에 스낵식품이 급증하였으며, 그에 따라 탄산음료 섭취도 매우 증가하였다. 한편, 커피소비도 탄산소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는데, 1975년 이후로 1인당 커피 소비량은 더 줄어들고, 그 대신 1인당 탄산 소비량이 매우 증가하였다.   그림 7.5​미국의 CDC에 따르면, 미국에서 2016년...

Read more

WHR_세계행복보고서 2018 – Chapter7(1). 미국의 건강위기(비만, 물질주의, 약물 남용, 우울증)와 이스털린 역설

Chapter 7. America’s Health Crisis and the Easterlin Paradox미국의 건강위기(비만, 물질주의, 약물 남용, 우울증)와 이스털린 역설   그림 7.1​미국의 경우, 1972년 이후로 현재까지 1인당 GDP(파란색 선)는 두 배가 넘었으나, 행복(주관적인 행복, 주황색 선)은 변화가 없거나, 아니면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스털린의 역설로 많은 설명이 되었으나,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미국의 사회적 자본의 감소라고 할 수 있다. Restoring America’s Happiness 기사에서는, 미국의 주관적 행복이 비만, 물질주의, 약물...

Read more

WHR_세계행복보고서 2018 – Chapter6(8)

Chapter 6. Happiness in Latin America Has Social Foundations남미지역 행복의 사회적 기반​   그림 6.21​본 그래프는 각 국가별로 가족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것이다. 가족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질문은 다음과 같다. ‘모든 것을 고려했을 때, 당신은 당신의 가족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그 결과,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평균 가족 만족도는 5.87점으로, 서유럽 국가(5.58)와 앵글로색슨 국가들(5.60)에 비해 훨씬 더 높았다. 라틴아메리카의 높은 가족 만족도는 그들의 높은 행복도와 긍정 정서를 설명하며, 이들 간에는 관련성이...

Read more
Page 348 of 350 1 347 348 349 350

인기컨텐츠

추천링크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