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행복수업 취지] 교사와 학생 모두 행복한 학교를 위한 “대한민국 행복수업 프로젝트”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지수는 세계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생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꾸준한 행복 연습이 필수적입니다. 행복연구센터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긍정적 가치관을 형성하고 이를 생활 속에서 꾸준히 실천하고 연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행복교육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습니다.성공적인 행복수업을 위한 교재개발 및 교사연수를 중심으로 하는 “대한민국 행복수업 프로젝트”는 현재 중학교를 대상으로 먼저 행복교육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초등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초등학교 행복...

Read more

SNU 행복종단연구

행복연구센터는 “SNU행복 종단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종단연구란 시간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여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 방법으로서, 하버드대학교에서 50년 이상 지속된 그랜트 스터디가 성공적인 종단연구의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행복연구센터는 이 성공적인 연구를 모델로 삼아 한국인에게 권장할만한 행복의 비결을 탐색하는 SNU행복종단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버드 그랜트 스터디(Grant study)는... 연구 시작~종료: 1938년~현재연구 대상자 수: 268명연구 참여 간격: 2년 간격 그랜트스터디는 1939년 하버드대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작되었습니다.졸업 후에 학생들의 신체적...

Read more

[연구분야] 행복연구센터는 행복한 사람들의 특징과 긍정정서의 영향력을 연구합니다

연구분야 행복연구센터에서는 SNU행복종단연구 이외에도 학제간 연계를 통해 아래와 같이 행복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분야 행복연구센터는 행복한 사람들의 특징과 긍정정서의 영향력을 연구합니다 연구주제 1 : 행복한 사람들의 삶 행복연구센터는 행복한 사람들의 특징과 긍정정서의 영향력을 연구합니다삶을 이롭게 하는 행복한 사람들의 특징들과 행복감, 기쁨과 같은 긍정정서가 일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흥미롭게 구성된 심리 연구주제 2 : 한국인 마음의 지도 행복연구센터는 한국인의 행복 개념과 행복 신념을 연구합니다....

Read more

행복교육포털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에서 10년 동안 축적한 자료를 나누기 위한 행복포털입니다.   행복포털에는 연구논문, 보고서뿐만 아니라각종 문화컨텐츠에 대한 아카이빙 자료와시, 소설, 다큐멘터리, 영화, 뮤지컬, 그림책 등의 컨텐츠가 행복도서관에 모아져 있습니다. 우리의 삶에서 접할 수 있는여러 문화컨텐츠 속에서 행복을 만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Read more

다음카페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의 다음카페는 “행복교과서 프로젝트” 카페이기도 합니다. 이 카페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과 함께 행복교과서를 활용하여 행복수업을 진행하고 계시거나 그런 계획을 가지고 계신 선생님들이 수업 경험을 공유하고 서로의 노하우를 전달해주는 교사 커뮤니티의 장입니다. 다른 선생님들과 함께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며 배울 수 있습니다.

Read more

페이스북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페이스북에서는 행복연구센터의 연구 자료를 시각 자료와 함께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일상 속에서 적용할 수 있는 행복의 비밀, 여러 연구 자료를 살펴 하나의 글로 만든 행복연구스케치, 행복의 내용을 카드뉴스로 만든 행복 스토리 등 각종 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교사행복대학, 교사행복연구세미나, 행복수업연구회 등이 열릴 때는 사진과 함께 소식을 전하기도 합니다. 행복과 관련된 강의가 있으면 정보를 올려 많은 분들이 강연에 참여하실 수 있도록 하죠. 페이스북을 통해...

Read more

카카오 같이가치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는 카카오 같이가치와 함께 ‘안녕지수’를 측정합니다 인류는 인류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측정해왔습니다. 또한 측정되기 시작한 것들은 인류에게 점점 더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먹고사는 문제가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생산과 소비, 고용과 분배에 관한 것들을 체계적으로 그리고 다양하게 측정해왔습니다. 인간의 지적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IQ라는 개념을 만들고 측정해왔습니다.우리의 건강도 그렇습니다. 콜레스테롤 지수, 간 기능 지수, BMI 등은 이미 우리의 일상적인 용어가 되었습니다. 동시에 그렇게...

Read more
Page 41 of 350 1 40 41 42 350

인기컨텐츠

추천링크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