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가 겪는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성장을 우리는 발달이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어른이 살면서 경험하는 일련의 변화는 뭐라고 불러야할까? 생애발달이론에서는 신생아부터 노년기까지 이르는 전 생애 기간동안 인간이 겪는 신체,인지,정서적 성장과 노화를 모두 일컬어 발달한다고 한다. 어린이의 키가 자라는 것도, 노인의 눈이 침침해 지는 것도 모두 발달인 것이다. 영유아, 학령기 아이들에게만 주로 사용하던 발달은 보다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발달이라고 해서 모든 경험이 기쁘거나 슬픈것은 아니다. 한...
Keyword1. 행복한 삶 순간의 행복과 인생 전체의 행복에는 미묘하면서도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순간의 행복은 단순하게 감정을 즐겁게 하는 스킬만을 이야기하기 쉽지만, 행복한 삶은 그런 순간의 행복을 포함하는 동시에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어떤 것들이라고 포괄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Keyword2. 체계적인 지식 전달 행복 수업은 단순하게 기분을 좋게 만들어주는 수업이 아닙니다. 행복이 어떻게 정의되고 측정되는지? 행복의 원인은 무엇인지? 어떤 사회의 국민들이 행복한 것인지 등에...
행복교육이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서울대학교 시진핑홀(38동 520호)에서 ‘제52회 행복교육 기초워크숍’이 2023년 1월 17~18일 양일 동안 진행되었다. 259명의 교원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에서도 참여한 교원이 있을 정도로 뜨거운 열정을 가지고 행사가 시작되었다. 먼저,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자 행복연구센터장을 임하고 계신 최인철 교수님의 강의가 제52회 행복교육 기초워크숍의 포문을 열었다. ‘삶의 난이도를 결정할 수 있다면?’이라는 주제를 시작으로 우리가 행복할 수 있는 선택을 인도해주는 원칙, ‘the pleasure principle’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다....
인생은 우리가 던지는 질문에 의해서 결정됩니다.고작 묻는다는 질문이 '돈'이거나 '드라마'이거나 '명품'이라면, 그 사람의 인생은 참 시시할 것입니다.본질적이고 중요한 질문을 던지지 않으면 시시한 질문들이 우리 마음을 지배하게 됩니다.하루를 시작하면서, 한 해를 시작하면서, 그리고 매 순간마다 나에게 던지는 보석같이 빛나는 질문이 있어야 합니다. 행복연구센터에서는 매일의 행복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오늘의 행복"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습니다. 🌈오늘의 행복 주요 콘텐츠- 행복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자신의 행복을 관리할 수 있는...
| 2022년 11월 26일(토) 행복연구센터 제16기 교사행복대학 5차 교육 열려 | 최인철 교수님, “행복을 느낄 수 있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 최종안 교수님, “파편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길” 2022년 11월 26일 토요일 9시,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와 사범대학교육연수원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제16기 교사행복대학의 다섯 번째 교육이 열렸다. 최인철 교수님의 굿라이프 심리학 강의, 김경일 교수님의 명사초청 특강, 최종안 교수님의 사회 심리학 강의, 그리고 실천 팀프로젝트 시간으로 진행됐다. 이번 시간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