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삶의 만족도

김경미, 류승아, & 최인철. (2014). 행복과 학업성취: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4), 329-346.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행복과 학업성취에서 선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서울 지역 대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그리고 지난 학기의 학 점을 측정하였고, 1년이 지난 후 동일한 내용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삶의 만족도와 긍정정서는 1년 후의 객관적인 학업성취, 즉 학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나, 부정정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학점이 1년 후의 행복, 즉 삶의 만족 도, 긍정정서 ...

Read more

임영진 (2014). 친화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1), 167-179.

본 연구는 친화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지능과 긍정정서를 포함한 3경로 매개모형을 검증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 목적을 위해 친화성 척도, 사회지능 척도, 긍정 및 부정정서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등을 대학생 202명(남 96, 여 106)에게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높은 친화성 수준은 높은 사회지능을 예측하였고, 높은 사회지능 수준은 긍정정서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어, 3경로 매개모형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

Read more

한정균, 임성문 (2011).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 간 인과관계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609-622.

본 연구는 주관적 안녕의 구성 성분 가운데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개입 전략 수립에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는 인과성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 즉 삶의 만족도의 두 구성 요소인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 간 인과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7명의 대상자들로부터 2주 간격의 연 이은 세 시점에서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수집하였다. 통계자료 분석에는 구조방정식의 자귀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사용하였는데, 인과성을 분석하기 ...

Read more

임영진 (2012).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877-896.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만족도 척도(Satisfaction with the Life Scale; SWLS, Diener, Emmons, Larsen, & Griffin, 1985)의 한국판을 경찰공무원 516명(남 460, 여 56), 대학생 421명(남 191, 여 230), 청소년 437명(남 223, 여 214)에게 실시하여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Korean version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Life Scale; K-SWLS, 조명한, 차경호, 1998)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요인 구조가 본 자료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

Read more

정동희, 심은정 (2019). 노인 우울 증상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의 네트워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2), 549-570.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의 2016년 횡단자료를 활용하여 노인 우울 증상과 삶의 만족도의 네트워크 구조 및 두 변인을 연결하는 교량 증상(bridge symptom)을 확인하였다. 연구 변인은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 단축형과 전반적 및 네 영역의 삶의 만족도 5문항으로 평가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총 4,584명의 자료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많이 우울하다고 생각했다”와 “마음이 슬펐다”가 우울 증상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우울 증상과 연결이 가장 많은 중심 증상이었다. 반면, 교량 중심성(bridge centrality) ...

Read more

신재욱, 신민철 (2014). 소비자의 심리특성이 블랙컨슈머행동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5(3), 409-433.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심리특성 중 열등감과 공격성이 블랙컨슈머행동 및 블랙컨슈머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마케팅조사회사를 통해, 서울/경기지역의 성인소비자 중 블랙컨슈머와 유사한 경험이 있는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열등감은 블랙컨슈머행동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열등감은 블랙컨슈머의 공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격성은 블랙컨슈머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

Read more

카테고리

  • 카테고리 없음

인기컨텐츠

추천링크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