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스트레스 대처

서수균, 백지영, 정영숙 (2012). 노인의 스트레스 및 삶의 의미성과 행복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3), 17-30.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삶의 의미성, 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행복감은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으로 세분하여 측정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160명을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 삶의 의미, 주관적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생활스트레스는 주관적 안녕감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심리적 안녕감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삶의 의미는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안녕감 모두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생활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의 ...

Read more

이하나, 정현주, 이기학, 이학주 (2006).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행복감과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와의 관계. 상담학연구, 7(3): 701-713.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적 구성요인으로서의 자아탄력성과 긍정적인 정서적 경험으로서의 행복감이 스트레스 상황을 지각하는 수준과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시내 Y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44명이며, 성별 분포는 남 248명, 여 196명이다. 먼저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스트레스 지각 간에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정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행복감과 스트레스 지각에서도 유의미한 부적 ...

Read more

김연화 (2010). 아동청소년의 일상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12), 287-307.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의 일상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광주와 전남지역의 아동청소년 총 489명 (초등학생 6학년 267명, 중학생 3학년 22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일상스트레스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범은 t-test,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의 행복감은 성별 차이는 없었으나 6학년이 중학교 3학년보다 행복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상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변인의 ...

Read more

표지연, 박중규 (2018).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성장환경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4(1), 49-67.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심리적 성장환경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총 46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적 성장환경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심리적 성장환경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수준,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성장환경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심리적 성장환경과 행복감 역시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행복감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

Read more

공강석, 하승수 (2015). 경찰관 직무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1(1), 43-63.

본 연구는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찰청 소속 남녀 경찰관 100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주관적 행복감(긍정심리학 관점의 행복한 삶의 3가지 요소 ‘의미, 즐거움, 열정’), 성격강점을 측정하였고,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총점)관계에서 겸손과 낙관성 강점이 조절효과를,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의미)관계에서 공정성,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즐거움)관계에서 시민정신,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즐거움)관계에서 진실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된 경관에게 성격강점을 활용하도록 했을 때 ...

Read more

류승아, 김경미, 한민 (2014). 문화적 자기관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행복 및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3), 177-203.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의 차이는 개인의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개인의 특성에 따라 대처방식이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개인이 가지는 특성 중 문화적 자기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행복의 관계가 달라지는 지에 대하여는 확인된 바 없다. 기존의 문화적 자기관으로 대표되는 개인주의-집단주의 또는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는 한국인의 특성을 설명하는 데 한계를 보여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적 자기관인 주체성-대상성 자기를 ...

Read more

카테고리

  • 카테고리 없음

인기컨텐츠

추천링크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