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emotion measurement

최해연, & 최종안. (2016). 한국인의 정서 구조와 측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0(2), 89-114.

정서 연구와 실용적 개입을 위해서는 다양한 정서들 간의 구분과 그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맥락에서 정서단어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정서경험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측정할 자기보고 측정도구를 제안하였다. 정서 단어로써 원형성과 친숙성이 보고된 부정정서단어 32개와 긍정정서단어 20개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과 직장인 250명이(직장인 65.2%, 남자 45.6%) 정서 경험 보고 자료를 요인분석한 결과, 긍정정서는 ‘애정’ ‘성취’ ‘재미’ ‘평안’ ‘감동감사’의 5개 요인, 부정정서는 ‘슬픔우울’ ‘분노혐오’ ‘불안걱정’ ...

Read more

로그인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