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BMI의 변화에 따른 정서적 행복감을 알아보고, 이들의 정서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섭식과 관련된 행동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1년 간격의 종단연구를 수행하였다. BMI 체중 변화의 범주로, ‘정상–정상 체중’, ‘정상–과체중’ 그리고 ‘과체중–과체중’의 세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정상 체중이 유지된 ‘정상–정상 체중’집단에서는 폭식행동을 덜 할수록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였고, 체형차이를 작게 경험하면 건강 섭식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행복감과 정적 관계를 이루었다. 반면에 ‘정상–과체중’ 집단에서는 건강한 섭식 행동이 1년 후 정서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과체중–과체중’ 집단에서는 체형차이가 낮으면 억제행동이 높을수록 그리고 체형 차이가 높으면 억제행동이 낮을수록 1년 후 정서적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처음의 정서적 행복감이 1년 후 정서적 행복감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친 집단은 ‘정상–정상 체중’ 집단이었으며, ‘정상–과체중’ 집단과 ‘과체중–과체중’ 집단에서는 처음의 정서적 행복감이 1년 후 정서적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목표와 이에 부합되는 행동 및 결과에 따라 정서적 행복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longitudinal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ting behaviors influencing emotional happiness amongst female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ir change of BMI over one year. The changes in category of BMI were composed of three groups, which were “average-average weight“, “average-overweight“, and “overweight-overweight“. In “average- average weight“ group, the level of bulimic behavior negatively influenced the emotional happiness after one year, otherwise, healthy dieting behavior negatively influenced the one-year-later emotional happiness in “average-overweight“ group. In addition, the effect of anorexic behavior on one-year-later emotional happiness was moderated by self-discrepancy between ideal and actual body shape in “overweight-overweight“ group. In other words, the people with low level of self-discrepancy between ideal and actual body shape, anorexic behavior predicted emotional happiness positively, despite of their maintained problematic overweight.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with high level of self-discrepancy experienced less emotional happiness as higher level of anorexic behavior. Previous emotional happiness positively influenced the emotional happiness only in “average-average weight“. The results described above can be interpreted that in the case of the people who have accomplished desired goal in the area of weight and shape, the behavior not fit with the goal influenced emotional happiness significantly, otherwise the behavior fit with the desired goal did the similar role in the case of people who have 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