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All
    • 교육사업
    • 문화컨텐츠사업
    • 센터소개
    • 연구사업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카카오톡 채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유튜브 ‘오늘의 행복’

    유튜브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인스타그램 ‘오늘의 행복’

  • 행복DB
    • All
    • 도서
    • 명언
    • 미디어
    • 보고서
    • 언론자료
    • 연구논문
    • 웹사이트
    • 행복연구센터 발간자료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연구참여자 모집/사례 지급] 자유연상 패턴과 심리적 속성 간의 관계 탐색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Vol.92 몸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법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 꼭 지켜야 할 한 가지 원칙

  • 행복스토리
    • All
    • 보고서스케치
    • 북챕터스케치
    • 연구스케치
    • 오피니언
    • 카드뉴스
    • 행복교육 연구스케치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키워드로 보는 대한민국 행복지도 2024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소소한 행복썰 모음.zip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나 자신과 연애하는 느낌으로 살기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All
    • 행복교과서
    • 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행복교육워크숍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1기 교사행복대학_1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5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제20기 교사행복대학_4차_현장 스케치

  • H드라이브
No Result
View All Result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No Result
View All Result

Vol.70 [행복수업] 감사하기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by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4월 28, 2022
in 뉴스레터
Share on Facebook

1. 만약에 없었더라면…(Mental Subtraction of Positive Events)

🤔무언가가 없는 삶을 상상함으로써 지금 가진 것에 감사하기

⏱️소요시간 : 15분

매주 다른 긍정적인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일주일에 한 번 시간을 내어 이 연습을 해보세요. 매주 일요일 저녁에 자기 전이나 매주 금요일 점심시간에 이 연습을 해보는 것도 좋을 거예요.

❓이 활동은 왜 필요할까요?

우리는 살면서 우리에게 일어난 좋은 일들을 그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기 쉽지만, 연구에 따르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 더 자주 멈춰서 그 가치를 인정하면 삶이 더 행복하고 건강해진다고 합니다. 이 활동은 긍정적인 사건이 없었을 때의 삶을 시각화함으로써 삶의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감사의 감정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계획되었습니다. 긍정적 사건의 부재를 맛봄으로써 당신은 당신의 삶에서 그들의 존재를 더 깊이 감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그것은 마치 영화 It’s Wonderful Life 또는 Joni Mitchell의 노래 “Big Yellow Taxi”에 나오는 것과 같습니다. 여기서 “당신은 그것이 사라질 때까지 당신이 가진 것이 무엇인지 모릅니다.”

영화 It’s Wonderful Life(1946) 포스터
영화 It’s Wonderful Life(1946)
Joni Mitchell의 노래 ” Big Yellow Taxi “

🗣️ 이렇게 해보세요.

🙂잠시 시간을 내어 교육이나 성취 또는 특별한 여행과 같은 인생의 긍정적인 사건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긍정적 사건이 일어난 시간과 그것을 가능하게 한 상황과 여건들을 적어 봅니다.

🙂긍정적 사건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생각해 봅니다.
(예: 맛있는 급식이 나오지 않았다면 어땠을까요?)

🙂긍정적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어땠을지 친구들와 이야기합니다.

🙂긍정적 사건이 실제 일어났음을 상기하고, 그것에 나에게 주는 혜택을 깨달을 수 있도록 관점을 바꿔봅니다.
긍정적 사건은 내 삶에 당연히 주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을 기억하고 감사의 마음을 키워봅니다.

☘️ 이 활동은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빼기 가정(Mental Subtraction)은 우리 삶에서의 긍정적인 사건을 그저 당연하게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줄입니다. 사건을 일으킨 상황을 고려할 때 우리는 그 긍정적 사건이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얼마나 낮았는지, 그리고 그 사건이 실제로 일어난 것처럼 운이 좋았다는 사실에 놀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긍정적인 사건을 경험하지 못한 것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고통스러울 수 있지만, 이 활동을 통해 현재 상황을 유리하게 바라볼 수 있는 감사의 관점을 제공합니다.

참고문헌: Koo, M., Algoe, S. B., Wilson, T. D., & Gilbert, D. T. (2008). It’s a wonderful life: Mentally subtracting positive events improves people’s affective states, contrary to their affective forecas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5(5), 1217-1224.

2. 어린이를 위한 감사질문

⏱️소요시간 : 5분

❓이 활동은 왜 필요할까요?

아이들이 태어날 때부터 감사하기에 능숙하지는 않습니다. 감사는 인지 능력이 성숙함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달하며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그 연습은 분명 효과가 있습니다. 감사하는 어린이와 청소년은 학업과 취미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고 더 나은 성적을 받으며 학교, 가족, 지역 사회, 친구 및 자신에 대해 더 만족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들은 더 나은 사회적 지지를 받고, 다른 사람들에게 더 많은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고, 더 나은 지역 사회를 위해 자신의 강점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큽니다. 전반적으로 그들은 더 행복하고 더 낙관적이며 삶에 더 만족합니다.

🗣️ 이렇게 해보세요.

부모, 보호자, 교육자로서 우리는 아이들이 선물을 받았을 때 “고맙습니다”라고 말하도록 가르치고 기대합니다. 그것이 중요한 부분이지만 감사는 세분화하고 연습해야 하는 다른 사회적, 정서적 기술도 포함합니다.

연구자들은 감사 경험을 구성하는 네가지 영역을 정의했습니다.
🔅우리가 삶에서 감사할 수 있는 것들을 알아차리기(NOTICE)
🔅그것을 받은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THINK)
🔅우리에게 주어진 것들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FEEL)
🔅감사를 표현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하는지(DO)


자녀와 이 네가지 영역에 대해 토론하면서 감사에 대해 가르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자녀에게 감사 경험에 대해 질문할 수 있는 NOTICE-THINK-FEEL-DO 질문의 몇 가지 예입니다.

🔅알아차리기(NOTICE)
당신에게 주어진 것은 무엇입니까, 아니면 당신의 삶에서 이미 감사한 것은 무엇입니까?
당신에게 선물을 줄 만큼 당신을 생각하거나 돌보는 사람처럼 당신이 고마운 선물 뒤에 선물이 있습니까?

🔅생각하기(THINK)
왜 이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합니까?
그 대가로 주는 사람에게 빚을 지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스스로 한 일 때문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합니까?
선물이 주는 사람이 당신에게 주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느끼다(FEEL)
이 선물을 받으면 기분이 좋아지나요?
내면에서 어떤 느낌이 드나요?
기분이 좋아지는 선물은?

🔅하다(DO)
이 선물에 대한 마음을 표현하고 싶은가요?
이 선물에 대한 느낌이 나 역시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주어 그 느낌을 나누고 싶게 만드나요?

☘️ 이 활동은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부모-자녀 대화는 감사를 네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그 영역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감사에 대한 어린이의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그리고 자유롭게 선물을 주었다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을 때, 그들은 더 강한 감사 경험을 가질 가능성이 더 큽니다. 이 질문은 또한 아이들이 인생에서 받은 선물을 나중에 느끼는 긍정적인 감정과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감사의 제스처든 선물이든 간에 어린이들에게 감사의 행동을 하도록 격려하는 것은 그 경험이 그들에게 의미하는 바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토론은 아이들이 감사와 그 가치에 대한 부모의 태도를 내면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결국, 그들은 더 자주 감사함을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Hussong, A. M., Langley, H. A., Rothenberg, W. A., Coffman, J. L., Halberstadt, A. G., Costanzo, P. R., & Mokrova, I. (2018). Raising grateful children one day at a time.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DOI: 10.1080/10888691.2018.1441713.

Previous Post

Vol.70 [연구소개] 예술과 행복

Next Post

Vol.70 [행복달력] MAY Happiness Calendar

Related Posts

행복을 배우는 새로운 방법, ‘행복 ON’ 시범운영 교원 모집
뉴스레터

행복을 배우는 새로운 방법, ‘행복 ON’ 시범운영 교원 모집

2월 19, 2025
502
제 21기 교사행복대학 교육생 모집
뉴스레터

제 21기 교사행복대학 교육생 모집

1월 9, 2025
527
인생을 바꾸는 행복 습관 학교, 오늘의 행복
뉴스레터

인생을 바꾸는 행복 습관 학교, 오늘의 행복

12월 19, 2024
423
Next Post
Vol.70 [행복달력] MAY Happiness Calendar

Vol.70 [행복달력] MAY Happiness Calendar

  • 01-행복연구센터
  • 01-행복연구센터-교육사업
  • 01-행복연구센터-문화컨텐츠사업
  • 01-행복연구센터-센터소개
  • 01-행복연구센터-연구사업
  • 02-행복DB
  • 02-행복DB-도서
  • 02-행복DB-명언
  • 02-행복DB-미디어
  • 02-행복DB-보고서
  • 02-행복DB-언론자료
  • 02-행복DB-연구논문
  • 02-행복DB-웹사이트
  • 02-행복DB-행복연구센터발간자료
  • 03-행복스토리
  • 03-행복스토리-보고서스케치
  • 03-행복스토리-북챕터스케치
  • 03-행복스토리-연구스케치
  • 03-행복스토리-오피니언
  • 03-행복스토리-카드뉴스
  • 03-행복스토리-행복교육연구스케치
  • 04-뉴스레터
  • 05-행복교육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 05-행복교육-행복교과서 챕터가이드
  • 05-행복교육-행복교육워크숍
  • H드라이브
  • 개인정보 취급방침
  • 메인화면
  • 에디터
  • 이용약관
  • 카드뉴스
  • 페이스북
  • 행복연구센터
  • 회원가입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행복연구센터
  • 행복DB
  • 행복스토리
  • 뉴스레터
  • 행복교육
  • H드라이브
  • 로그인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220동 643호 TEL: 02-880-6391 FAX: 02-877-6391 Email: happiness@snu.ac.kr
Copyright@2016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